학술논문
영화 내러티브와 사운드 디자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Film Narrative and Sound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강효욱(Hyo-wook Kang)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5권 제2호, 11~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화(Film)는 연기, 촬영, 음악, 음향, 조명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종합예술이지만 시각적인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영상(Picture)이 영화에서 가장 주된 요소임에 분명하다. 영상만 존재했던 시대의 결과물을 ‘무성영화(Silent Film)’라고 칭함에서 알 수 있듯이 영화에서 영상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영화의 발전기를 거치며 영상에 음악, 음향 등의 청각적인 요소들이 입혀지고 영화의 서사 즉, 내러티브(Narrative)는 다양한 사운드(Sound)를 활용한 표현방식을 통해 보다 분명한 전달력을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영화의 내러티브와 사운드 디자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로 단순한 배경음악이 아니라 디자인 된 음악과 음향들 즉, 사운드의 활용이 영화의 내러티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제 영화장면을 사례로 들어 분석하였다.
영화의 시작 장면에서 영상 없이 음향이 먼저 제시되었을 때 관객은 오직 사운드에 의존하여 내러티브를 상상하게 된다. 시작 장면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사운드 디자인을 제시했을 때 사운드는 관객에게 이전 장면으로부터의 환기효과 뿐 아니라 새로운 내러티브에 대한 몰입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또한 영상이 정지되어있는 장면에서 그 영상에 등장하지 않은 색다른 사운드를 표현하고자하는 내러티브에 맞게 디자인하여 입혀주면 관객들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다른 공간과 배우, 사물 등을 미리 상상할 수 있게 된다.
영화에서 사운드를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관객은 동일한 장면을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영화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제작자의 의도가 직접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며 실제로 이러한 연출이 관객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또한 디제시스 사운드(Diegesis Sound)와 비(非)디제시스 사운드를 연속적으로 디자인함으로써 관객이 이해하게 되는 내러티브를 확장시키기도 함을 본 연구의 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통해 영화를 접하는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활용한 콘텐츠가 무수히 많이 제작되고 있지만 영화 내러티브와 사운드 디자인의 활용에 대한 방법론은 아직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와 유사한 사례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보다 체계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Film is a comprehensive art form composed of various elements such as acting, cinematography, music, sound, and lighting. Yet,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art, it is clear that the picture remains the most central component of film. This is evidenced by the term “Silent Film,” used to describe works from the era when only visuals existed, underscoring the indispensable nature of the picture in cinema. As film developed over time, auditory elements like music and sound were integrated, enhancing the narrative delivery. Consequently, the film’s narrative has achieved greater clarity and expressiveness through the use of diverse sound design techniques.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film narrative and sound design, focusing not merely on background music but on composed music and designed sound. It analyzes how the deliberate use of sound influences the film’s narrative, with case studies drawn from actual film scenes.
When sound is presented without any accompanying visuals in the opening scene of a film, the audience is compelled to rely solely on sound to imagine the narrative. Even when such sound design is employed outside the opening scene, it not only evokes prior scenes but also enhances the audience’s immersion in a new narrative. Additionally, when the visuals in a scene are static, incorporating uniquely designed sounds that align with the intended narrative can lead the audience to envision spaces, characters, and objects that are not visually depicted, stimulating their imagination and anticipation.
Depending on how sound is designed in a film, the audience can perceive the same scene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This aspect serves as a direct medium for the filmmaker’s intended message to be conveyed to the audience,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ir reactions. Furthermore, by continuously designing both diegetic and non-diegetic sounds, the narrative that the audience comprehends can be expanded, a point that this study illustrates through various case examples.
A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films through various forms of media have increased, countless pieces of content employing diverse techniques have been produced. However, a clear methodology for the use of film narrative and sound design has yet to be fully established. Therefore, it is hoped that similar case studies to this research will continue, paving the way for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ies on this methodolog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화 내러티브
3. 영화 사운드
4. 영화사례를 통해 본 내러티브와 사운드 디자인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내러티브와 사운드 디자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한국 영화음악의 형성과 전개: 태동기, 조선 영화음악의 발전 과정(1897-1945)
- 편전(片箭) 쏘는 방법 硏究
- 중국 드라마 대화 인접쌍에 나타난 ‘没(有)’의 담화기능
- 10세기 후반 宋太宗의 “北伐” 연구 - 北漢 정벌과 “燕雲 16州” 탈환 정벌을 중심으로
- 예비 중국어 교사의 중국어 성조 교육에 대한 인식
-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용음악과 학업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 AIDS를 이용한 지출탄력성과 가격탄력성 추정
- 주숙진(朱淑眞)의 단장사(斷腸詞), 암흑 속에서 외친 절망의 노래
- 최한기(崔漢綺)와 벤자민 홉슨(Benjamin Hobson, 合信)의 만남: 신기천험(身機踐驗)을 중심으로
- 2023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과 생명철학적 제언
- 『리바이어던』에 나타난 ‘우상 숭배’에 대한 홉스의 통찰 - 4부 ‘어둠의 왕국’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중중모리 리듬분석
- 언어폭력의 가해 요인과 사상체질별 예방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