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영화음악의 형성과 전개: 태동기, 조선 영화음악의 발전 과정(1897-1945)

이용수 0

영문명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film music: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Joseon Film Music (1897-1945)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조순자(Sunja Jo)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5권 제2호, 59~9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897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에서 발전해 온 영화음악의 태동과 성장 과정을 네 시기로 나누어 영화음악사의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 영화의 발달 과정은 크게 활동사진시대(1897-1918), 연쇄극시대(1919-1925), 무성영화시대(1926-1934), 유성영화시대(1935-1945)로 구분되며, 각 시기별 영화음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활동사진시대에는 서양 스코어를 기반으로 한 음악이 조선 관객들에게 서양문화를 경험하게 했으나 창의성과 정체성은 미흡했다. 연쇄극시대에는 일본 엔카의 번안곡과 조선 전통음악이 병존하며 조선적 정서를 반영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무성영화시대에는 조선 작곡가의 창작 음악이 사용되며 민족적 정체성이 두드러졌고, 유성기와 음반 보급으로 대중적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유성영화시대는 기술적 진보와 함께 영화음악이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으나, 일제의 검열로 인해 정치적 선전 도구로 변질되며 자율성과 예술성이 훼손되었다. 이 연구는 근대 한국 영화음악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탐구하여 조선 영화의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영화음악의 정체성과 연행 방식, 상징체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활동사진시대부터 연쇄극, 무성영화, 유성영화에 이르는 조선 영화의 발전 양상을 살펴본 결과, 영화음악은 시대적 정서를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적 매체로 기능하였다.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조선 영화음악은 서양 음악의 도입과 전통음악의 활용을 통해 민족적 울분과 항일의식을 표현한 <아리랑>, 일본적 정서를 반영한 <장한몽가>와 같은 작품들로 나타났으며, 전쟁 동원을 위한 <지원병의 노래> 등 국책 선전용 영화음악으로 전락하기도 했다. 이러한 영화음악은 당시 조선의 정치적·사회적 상황을 반영하며 대중의 정서를 형성하고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영화음악이 단순한 음악적 요소를 넘어, 근현대사와 예술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밝혀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일제 강점기 이후 해방공간의 영화음악,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영화음악이 시대적 맥락에서 어떻게 변모하고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함으로써, 한국 영화음악이 예술사와 역사 속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더욱 심도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Joseon film music in Korea from 1897 to 1945,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film music history. The researcher divide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cinema into four stages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s follows: First, in the era of motion pictures, music based on Western scores allowed Joseon audiences to experience Western culture, but it lacked creativity and identity. In the era of serial dramas, there were attempts to reflect Joseon sentiments by coexisting with Japanese enka and traditional Joseon music. In the era of silent films, original music by Joseon composers was used, highlighting national identity, and popular influence expanded with the spread of phonographs and records. In the era of sound films, film music became a key element along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but due to Japanese censorship, it was transformed into a political propaganda tool, undermining autonomy and artistr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 identity, performance methods, and symbolic systems of film music vari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cinema. In conclusion, Joseon film music formed and develop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ts time. The film theme song , which expresses national resentment and anti-Japanese sentiment, the film theme song < Janghanmongga>, which directly transplant Japanese emotions, and film music used in state propaganda films such as , , , and < Japanese Boy> can be interpreted as songs that articulate the situation faced by colonial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how Korean film music has developed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art history. It specifically examined how this film music played a role in introducing and conveying new cultures amid the exchange between domestic and Western cultures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im was to go beyond understanding domestic film music solely from a musical perspective and to identify its role within the significant contex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art history. Future research should continue to investigate the flow of film music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s well as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film music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목차

1. 머리말
2. 태동기(1897~1945) 한국 영화음악의 시기 구분과 특징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순자(Sunja Jo). (2024).한국 영화음악의 형성과 전개: 태동기, 조선 영화음악의 발전 과정(1897-1945). 인간과자연, 5 (2), 59-92

MLA

조순자(Sunja Jo). "한국 영화음악의 형성과 전개: 태동기, 조선 영화음악의 발전 과정(1897-1945)." 인간과자연, 5.2(2024): 5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