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니벽선생몽회록>의 특징 일고찰
이용수 7
- 영문명
- The Shape and Features of “Yeo Tr.Yibyeok Monghoerok”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양혜승(Hye-seung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67권, 165~20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이벽의 삶과 <여니벽선생몽회록>을 중심으로 형상화 양상과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여니벽선생몽 회록>은 19세기 몽유록으로 단형화된 몽유록이며 천주교 사상을 담은 특이한 서술구조와 사유로 적절한 담론이 형성되지 못한 일면이있다. 몽유록의 전형적 특징은 사라지고 천주교 인물들의 대화와 특이하게도 열전양식이 결합되어 독특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조선후기 사회상과 천주교 수용을 짚어 봤으며 한국 천주교회사에서이벽의 존재를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통해 추적해 보았다. 이벽은 다산 정약용에게 깊은 학문적 영향을 주었으며, 당대 최고의 유학자로 인정받았던 이가환을개종시키고 다산 형제들도 개종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선 천주교 초기의 실질적인교회 지도자로서 설교와 교리해설을 맡았던 핵심 인물이었다. 이것은 최근 천주교회서 진행하고 있는 ‘이벽 요한 세례자와 동료 132위’의 시복 시성과도 맞물려 있다. 당시의 여러 가지 기록으로 볼 때 이벽이 배교자로 사망할 수는 없는 것이며, 이벽이천주교회에 미친 영향력은 후대에까지 강하게 남았다는 증거인 것이다. 철저한 구도적 연구를 거쳐 자발적으로 수용한 신앙의 진리를 수호하고 삶을 불태운 이벽의천주교에서 위상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3장에서는 이벽의 형상화 양상을 통해 이벽의 천상선관의 모습으로 등장과 신비로운 분위기의 연출은 조선후기 널리 유행했던 <정감록>과 같은 비결신앙의 영향도 있지만, 당대에도 신선과 같은 학문의 깊이와 고결한 인품으로 칭송된 인물이고, 그런 그를 초기 천주교 신자들이 스승으로 모시고 있었던 정황이 천주교 내에서도 숭앙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벽이 신선의 모습으로 등장한 것은 단순히 도교적 신선의 모습이라기보다는 천주교 내에서의 이벽의 위상과 존경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여니벽선몽 회록>에는 조선후기 변란 및 자연재해와 함께 한국 천주교회의 박해사라고 해도 좋을 만큼 박해에 관한 예언이 나온다. 하지만, 1846년의 현실만 빼면 그 이전의 예언은 예언이 아니라 이미 겪은 일의 열거 즉 역사적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작자는 <여니벽선몽 회록>의 주인공이 이벽을 만나 역사적 사건을 우의한 예언을 통해 과거의 기억을 복원시켰다. 이렇게 과거의 기억이 복원되고 이러한 역사적 진실은 주인공이 꿈에서 깨어나며 현재의 순간과 충돌하는데 이것은 곧 천주의 심판과 사회체제 개혁 담론이라는 새로운 의미가 창출되는 것이다. 지속적인 박해 속에서 꿈에서 깨어난 현실은 예언의 내용과 충돌하지만, 당시의 사회적·정치적 부조리를 우의적으로 복원하고 과거에 대한 비판의식과 새로운 인식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몽유록에서 서사와 논설의 결합을 통해 과거의 기억을 복원하고 새로운 인식을 창출하여 교훈을 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몽유록을 수용해 당대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과 천주교 박해를 통해 나타나는 이념 갈등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여니벽선몽 회록>은 몽유록 고유의 비판 의식을 이었으면서도 <정감록>과 같은 비결 신앙과의 문화수용 양상 등을 보여준다는 의의도 이 작품의 가치로 평가될 수 있다. 몽유록이라는 양식이 단순한 환상적 서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알레고리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부조리를 우의적으로 복원하고 과거에 대한 비판 의식와 새로운 인식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life of Yi Byeok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formation of Yeo Tr.Yibyeok Monghoerok. As a 19thcentury dream-journey narrative (mongyurok), Yeo Tr.Yibyeok Monghoerok is a condensed form of the genre, containing Catholic ideology and an unusual narrative structure that has not yet been fully explored in discours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mongyurok have disappeared, and the work uniquely combines dialogues between Catholic figures with a biographical style, creating a distinctive piece.
In Chapter 2, I examined the social landscape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acceptance of Catholicism, tracing the presence of Yi Byeok through various records of his life in Korean Catholic history. Yi Byeok greatly influenced Dasan Jeong Yak-yong academically, converted the renowned Confucian scholar Yi Ga-hwan,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converting Dasan’s brothers. Moreover, Yi Byeok served as a practical church leader in the early days of Korean Catholicism, responsible for preaching and explaining doctrines. His significance is closely tied to the ongoing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process of “John the Baptist Yi Byeok and 132 Companions” within the Catholic Church. Based on various historical records, it is evident that Yi Byeok could not have died as an apostate, and his lasting influence 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undeniable. His position within the Church, as someone who fiercely defended the truth of the faith he had voluntarily embraced through rigorous spiritual study, is highly regarded.
In Chapter 3, I explored the aspects of Yi Byeok’s portrayal, focusing on how he appears as a heavenly Taoist hermit, with a mystical atmosphere. While this may reflect the influence of secret faiths like Jeonggamrok that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Yi Byeok was also praised for his deep scholarship and noble character, akin to a Taoist immortal. Such circumstances likely contributed to early Catholic believers revering him as a teacher, a fact that also led to his veneration within the Church. In this sense, Yi Byeok’s appearance as a Taoist hermit should not be seen merely as a depiction of a Taoist figure but rather as a reflection of his esteemed status within the Catholic community.
Yeo Tr.Yibyeok Monghoerok also includes prophecies about persecution, along with records of the political upheavals and natural disast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considered a chronicle of Catholic persecution in Korea. However, aside from the events of 1846, the earlier prophecies are not predictions but rather descriptions of events that had already taken place — essentially, historical facts. The author of Yeo Tr.Yibyeok Monghoerok uses the protagonist’s meeting with Yi Byeok to restore memories of past events through allegorical prophecy. As these past memories are revived, historical truths collide with the present moment when the protagonist awakens from the dream, creating new meaning in the context of divine judgment and discourse on societal reform. Although the protagonist’s awakened reality conflicts with the prophecy, this allegorical restoration of social and political corruption serves to critique the past and guide new perspectives.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restores past memories and generates new awareness, offering lessons through the combination of narrative and discourse within the dream-journey genre. Yeo Tr.Yibyeok Monghoerok inherits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mongyurok and demonstrates cultural reception patterns similar to those found in secret faiths like Jeonggamrok, while also critiqu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and ideological conflicts arising from Catholic persecution. The mongyurok genre, far from being a simple fantasy narrative, serves as an allegorical tool to critique the social and political corruption of the time and foster critical thinking and new awareness of the past.
목차
1. 들어가며
2. 조선후기 사회상과 문화수용 양상
3. <여니벽선몽 회록>의 특징
4. <여니벽선몽 회록>의 가치와 의의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제67권 목차
- ‘신체화된 마음’의 서사로서 <천군실록>의 의미
- 두꺼비 신랑담의 포스트휴먼 연구
- 소멸된 육체와 위로의 언어들 - 잠부(潛夫) 이정구(李鼎九)의 죽음이 야기한 논쟁을 중심으로
- 『白下日記』에 나타난 白下 金大洛의 意識 世界
- <여니벽선생몽회록>의 특징 일고찰
- 한시(漢詩) 독해(讀解) 교과의 생성형 AI 챗(Chat)GPT 활용 방안 고찰
- 조선 시대 여성 유배객의 유배 실상 연구 - 관련 규정, 사례 및 실상
- 문해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양 한문교육
- 전쟁을 거친 공동체의 재탄생과 회복 서사, <유충렬전>
- 「獻花歌」에서 성적 메시지의 전송과 응답 맥락에 대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