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혼소송에서의 재산분할과위자료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서울고등법원 2024. 5. 30. 선고 2023르20051, 20068 판결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ndards of Property Division and Alimony in Divorce Proceedings : Seoul High Court 2024. 5. 30. Decision 2023re20051, 20068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이소은(Soeun Lee)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8卷 3號, 523~565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presents a critical examination of appellate decisions in a high-profile divorce case and the attitudes of trial courts toward the division of property and alimony in divorce. The article's primary points are as follows:
1. In establishing the division of property, the court should consider the factor of liquidation. It is hard to endorse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contribution to the maintenance and increase of the value of property” to encompass the factor of support.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property which belongs to one spouse, it should be considered as substantial matrimonial property only if the other spouse has directly contributed to the acquisition, maintenance, or increase of the value of property at issue. The defendant in the judgment did not provide direct contributions to the acquisition, maintenance, or increase of the value of stocks that belong to plaintiff, and thus the stock should not be subject to property division.
2. Alimony may be awarded when the mental suffering of the divorcing party reaches the level of “actual damages to be compensated.” Furthermore, when determining alimony, the severity of the divorcing party’s psychological distress must be the primary consideration, while factors primarily focused on penalizing the other party, such as the financial status of the other spouse, should be evaluated only as a secondary factor. The award of alimony in the amount of KRW 2 billion to the plaintiff may be regarded as an abuse of the trial court’s discretion, in contravention of the principles of equity. Furthermore, the judgment appears to have considered the plaintiff's economic status and consumption patterns, which is hard to justify, as it virtually constitutes a sanction against the plaintiff.
영문 초록
목차
[대상판결]
[평석]
Ⅰ. 들어가며
Ⅱ. 재산분할
Ⅲ. 위자료
Ⅳ. 대상판결에 대한 검토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연구 第38卷 3號 목차
- 미국 상속법상 유언의 의존적 철회 법리
- “원치 않는 삶(Wrongful Life)”과 관련한 유럽인권재판소의 모리스 대 프랑스 판결
- 유럽인권재판소판결을 통해 본 이혼할 권리 - 존스턴 대 아일랜드 판결 및 피오트로프스키 대 폴란드 판결
- 유언과 상속재산의 보전 - 약자상속인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성별기록자기결정법의 기본 내용과 가족법 관련 문제에 대한 소고
- ‘혼인의 사실상 파탄’의 의의에 관한 연구
- 보호출산제의 시행과 향후 과제
- 부양계약
- 민법상 배우자 상속분 개선방안에 관하여
- 오스트리아 상속법의 소개 - 법정상속을 중심으로
- ‘상속법 개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상속재산의 범위 규정의 개선방안
- 유류분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 - 불소급형성권설을 중심으로
- 과거 양육비 청구의 성질과 소멸시효에 관한 소고 - 대상결정: 대법원 2024. 7. 18 자 2018스724 전원합의체 결정
- 계약명의신탁 부동산의 생전증여와 특별수익 -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3다304568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자녀의 성·본 결정과 모의 성으로의 변경기준 - 대법원 2022. 3. 31. 자 2021스3 결정을 중심으로
- 이혼소송에서의 재산분할과위자료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서울고등법원 2024. 5. 30. 선고 2023르20051, 20068 판결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피상속인의 사망 후 인지된 자의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과 제척기간 - 헌법재판소 2024. 6. 27. 2021헌마1588 결정을 중심으로
- 기여분, 보상적 증여, 유류분 - 헌법적, 비교법적 및 입법론적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