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법상 배우자 상속분 개선방안에 관하여
이용수 7
- 영문명
- Improvement of the Spousal Inheritance Share under Korean Civil Law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조인영(Inyoung Cho)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8卷 3號, 365~412쪽, 전체 4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8,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orea’s spousal inheritance system has gradually evolved to promote gender equality. However, it employs a unique legislative approach where the inheritance share fluctuat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heirs. This approach also lacks fairness when compared with the division of property in divorce, leading to long-standing discussions on the need for improvement. Despite repeated efforts and proposals, actual amendments remain elusive. This paper reaffirms the need to revise the spousal inheritance share, exploring the potential for introducing and applying a new marital property system and spouse’s contributory portion. Additionally, the paper reviews social perceptions and practices based on various statistics, supplementing previous research on the spouse’s inheritance share. The analysis suggests that fundamentally altering the marital property system from separate to joint ownership, by reversing the current principle and exception, could result in significant practical issues. Likewise, the contributory portion has limitations in justifying an increased inheritance share for a spouse solely based on the duration of the marriage, except in exceptional cases. Therefore, the most fundamental solution to spousal inheritance issues lies in increasing the spousal inheritance share. The ideal approach would be to allocate 50% of the deceased's property to the surviving spouse, considering practical implementation, societal norms regarding family structures, fairness in property division, the duration of the marriage, the process of wealth accumulation, and equity among co-heirs in remarried families. Moreover, if inheritance taxes are imposed individually on each heir, with a reduced burden on the spouse, it would align with the principles of fairness in property division in divorce and the “one generation, one tax” rule. This approach would also contribute to fiscal sustainability by enhancing private support in an aging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배우자 상속제도의 근거 및 연혁
Ⅲ. 배우자 상속분 개정 논의
Ⅳ. 배우자 상속분의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연구 第38卷 3號 목차
- 미국 상속법상 유언의 의존적 철회 법리
- “원치 않는 삶(Wrongful Life)”과 관련한 유럽인권재판소의 모리스 대 프랑스 판결
- 유럽인권재판소판결을 통해 본 이혼할 권리 - 존스턴 대 아일랜드 판결 및 피오트로프스키 대 폴란드 판결
- 유언과 상속재산의 보전 - 약자상속인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성별기록자기결정법의 기본 내용과 가족법 관련 문제에 대한 소고
- ‘혼인의 사실상 파탄’의 의의에 관한 연구
- 보호출산제의 시행과 향후 과제
- 부양계약
- 민법상 배우자 상속분 개선방안에 관하여
- 오스트리아 상속법의 소개 - 법정상속을 중심으로
- ‘상속법 개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상속재산의 범위 규정의 개선방안
- 유류분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 - 불소급형성권설을 중심으로
- 과거 양육비 청구의 성질과 소멸시효에 관한 소고 - 대상결정: 대법원 2024. 7. 18 자 2018스724 전원합의체 결정
- 계약명의신탁 부동산의 생전증여와 특별수익 -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3다304568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자녀의 성·본 결정과 모의 성으로의 변경기준 - 대법원 2022. 3. 31. 자 2021스3 결정을 중심으로
- 이혼소송에서의 재산분할과위자료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서울고등법원 2024. 5. 30. 선고 2023르20051, 20068 판결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피상속인의 사망 후 인지된 자의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과 제척기간 - 헌법재판소 2024. 6. 27. 2021헌마1588 결정을 중심으로
- 기여분, 보상적 증여, 유류분 - 헌법적, 비교법적 및 입법론적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