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상속법상 유언의 의존적 철회 법리
이용수 4
- 영문명
- Doctrine of Dependent Relative Revocation in American Wills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이철우(Cheolwoo Lee)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8卷 3號, 65~114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doctrine of dependent relative revocation(DRR) in Anglo- American case law treats a revocation as presumptively ineffective if the testator made the revocation either ① in connection with an attempt to achieve a dispositive objective that fails under applicable law or ② due to a misunderstanding of law or fact.
Originating in early 18th-century English decisions on equitable grounds, DRR served as a remedy against severe injustices arising from will revocations based on mistakes of law or fact. The doctrine was subsequently adopted by American courts and has evolved over time to be more commonly explained as a doctrine of conditional revocation. Initially applied only when revocation involved specific revocatory acts, DRR’s applicability expanded by the mid-20th century to include revocations executed by subsequent wills.
DRR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fulfilling testators’ intentions by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will revocations according to whether the testator, if fully informed, would prefer the revocation to stand or be set aside. The modern trend in donative transfers law increasingly seeks to honor the donor's dispositive intent, for instance, through more liberal applications of revival rules and the harmless error doctrine. As these legal mechanisms become more effective in supporting donors' dispositive intentions, the need for DRR may diminish. However, until such measures are widely adopted in state statutes or case law, DRR remains necessary to prevent severe injustices stemming from certain revocations.
While numerous influential studies and decisions have systematically developed the doctrine, including its specific formulation in the 3rd Restatement ─ particularly through testator intent analysis with comprehensive comments and reporter’s notes ─ there remains room for greater coherence and consistency in its applic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Ⅱ. 개념 및 유언의 철회
Ⅲ. 의존적 철회 법리의 연혁과 이론구성
Ⅳ. 의존적 철회 법리가 적용된 경우
Ⅴ. 법리의 역할 및 문제점, 시사점
Ⅵ. 결 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연구 第38卷 3號 목차
- 미국 상속법상 유언의 의존적 철회 법리
- “원치 않는 삶(Wrongful Life)”과 관련한 유럽인권재판소의 모리스 대 프랑스 판결
- 유럽인권재판소판결을 통해 본 이혼할 권리 - 존스턴 대 아일랜드 판결 및 피오트로프스키 대 폴란드 판결
- 유언과 상속재산의 보전 - 약자상속인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성별기록자기결정법의 기본 내용과 가족법 관련 문제에 대한 소고
- ‘혼인의 사실상 파탄’의 의의에 관한 연구
- 보호출산제의 시행과 향후 과제
- 부양계약
- 민법상 배우자 상속분 개선방안에 관하여
- 오스트리아 상속법의 소개 - 법정상속을 중심으로
- ‘상속법 개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상속재산의 범위 규정의 개선방안
- 유류분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 - 불소급형성권설을 중심으로
- 과거 양육비 청구의 성질과 소멸시효에 관한 소고 - 대상결정: 대법원 2024. 7. 18 자 2018스724 전원합의체 결정
- 계약명의신탁 부동산의 생전증여와 특별수익 -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3다304568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자녀의 성·본 결정과 모의 성으로의 변경기준 - 대법원 2022. 3. 31. 자 2021스3 결정을 중심으로
- 이혼소송에서의 재산분할과위자료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서울고등법원 2024. 5. 30. 선고 2023르20051, 20068 판결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피상속인의 사망 후 인지된 자의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과 제척기간 - 헌법재판소 2024. 6. 27. 2021헌마1588 결정을 중심으로
- 기여분, 보상적 증여, 유류분 - 헌법적, 비교법적 및 입법론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