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류분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 - 불소급형성권설을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The Legal Nature of the Claim for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 Focusing on the ‘non-retroactive formative right theory’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오종근(Chong-Kun Oh)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8卷 3號, 441~47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legal nature of the claim for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has been in conflict between the formative right theory and the claim right theory. The formative right theory holds that if a forced portion right holder exercises the claim for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any donation or legacy that infringes upon the forced portion will be retroactively rendered ineffective. Case law supports the formative right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claim right theory holds that if a donation or legacy that infringes upon the forced portion has already been performed, the forced portion right holder has a right of claim that allows him or her to demand the return from the donee or legatee, and if it has not yet been performed, he or she has a right of defense that allows him or her to refuse performance, but the effect of the donation or legacy will not be lost. The formative right theory has the advantage of clarifying th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but has the disadvantage of undermining the safety of trans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claim right theory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the safety of transactions, but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th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unclear.
Accordingly, I believe that the ‘non-retroactive formative right theory’ is valid. The non-retroactive formative right theory is the view that a donation or legacy that infringes on the forced portion loses its effect from the time of the claim for the return of the reserved portion. According to the non-retroactive formative right theory, th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becomes clear, and the safety of transactions can be ensured, eliminating the disadvantages that arise when adopting the formative right theory and the claim right theory.
Th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according to the ‘non-retroactive formative right theory’ is analyzed as follows:
① If a donation or legacy that infringes on the forced portion is performed, the method of returning the forced portion is based on the legal doctrine of return of unjust enrichment. In other words, the person with the forced portion right can, in principle, request the return of the original object, and if the return of the original object is impossible, the return of the value can be requested (the Korean Civil Act Article 747).
② The fruits acquired by the donee or legatee from the object subject to the return of the forced portion before the request for return of the reserved portion may be retained by the donee or legatee, and the fruits acquired after the request for return must be returned according to the legal doctrine of return of unjust enrichment (Article 748).
③ If the donee or legatee transfers the object of the donation or legacy to a third party, the person with the forced portion right cannot request return from the assignee, and can only request return of the value from the donee or legatee (Article 747). The assignee may retain the acquired righ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Ⅱ. 유류분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
Ⅲ. 불소급형성권설에 따른 유류분 반환의 법률관계
Ⅳ. 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연구 第38卷 3號 목차
- 미국 상속법상 유언의 의존적 철회 법리
- “원치 않는 삶(Wrongful Life)”과 관련한 유럽인권재판소의 모리스 대 프랑스 판결
- 유럽인권재판소판결을 통해 본 이혼할 권리 - 존스턴 대 아일랜드 판결 및 피오트로프스키 대 폴란드 판결
- 유언과 상속재산의 보전 - 약자상속인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성별기록자기결정법의 기본 내용과 가족법 관련 문제에 대한 소고
- ‘혼인의 사실상 파탄’의 의의에 관한 연구
- 보호출산제의 시행과 향후 과제
- 부양계약
- 민법상 배우자 상속분 개선방안에 관하여
- 오스트리아 상속법의 소개 - 법정상속을 중심으로
- ‘상속법 개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상속재산의 범위 규정의 개선방안
- 유류분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 - 불소급형성권설을 중심으로
- 과거 양육비 청구의 성질과 소멸시효에 관한 소고 - 대상결정: 대법원 2024. 7. 18 자 2018스724 전원합의체 결정
- 계약명의신탁 부동산의 생전증여와 특별수익 -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3다304568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자녀의 성·본 결정과 모의 성으로의 변경기준 - 대법원 2022. 3. 31. 자 2021스3 결정을 중심으로
- 이혼소송에서의 재산분할과위자료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서울고등법원 2024. 5. 30. 선고 2023르20051, 20068 판결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피상속인의 사망 후 인지된 자의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과 제척기간 - 헌법재판소 2024. 6. 27. 2021헌마1588 결정을 중심으로
- 기여분, 보상적 증여, 유류분 - 헌법적, 비교법적 및 입법론적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