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호출산제의 시행과 향후 과제
이용수 16
- 영문명
- Enforcement of the protected birth and subsequent issues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신동현(Dong-Hyeon Shin)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8卷 3號, 267~30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ue to concerns over the side effects of the Birth notification system, which could lead to attempts to give birth outside of hospitals and increase risks to the health and lives of mothers and infants, the Act on Supporting Pregnancies in Crisis and Protected Births and Children Protection was enacted. This resul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Protected birth system, which came into effect alongside the Birth notification system on July 19, 2024.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Protected birth system has been controversial from the beginning, and criticisms of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Act have also been raised.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Act and the Protected birth system, and reviews the issues of the detailed points to explore the future tasks of the Act and the Protected birth system.
Un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born from them are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rotected birth system. However, it is not desirable that those who need more protection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Act, so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Protected birth system applies to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The broad scope of guardians who can make crucial decisions such as determining protected births, and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among the parties involved, could result in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pregnant women in crisis and children, necessitating improvements.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Act and the Protected birth system where the rights of biological fathers a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The Act needs to stipulate the obligations of biological fathers, ensuring that their genetic disorders or other health conditions can be collected for the health of the child, even if the father does not wish it.
Considering the right of the child to know their bloodline and origin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regulations on the disclosure of birth certificates and the introduction of remedies by the court in the future.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effects and side effects of the Protected birth system, and it remains at the level of mere expectations. However, if sufficient cases are accumulated in the future and analyses and reviews based on solid evidence in reality are conducted, it will be possible to more clearly confirm the pros and cons that the Protected birth system will bring to our society.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trends of the Protected birth system.
영문 초록
목차
Ⅰ. 보호출산제의 도입 배경
Ⅱ. 「위기임신보호출산법」과 보호출산제의 주요 내용
Ⅲ. 「위기임신보호출산법」과 보호출산제의 검토 과제
Ⅳ. 논의의 정리 - 결론에 갈음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연구 第38卷 3號 목차
- 미국 상속법상 유언의 의존적 철회 법리
- “원치 않는 삶(Wrongful Life)”과 관련한 유럽인권재판소의 모리스 대 프랑스 판결
- 유럽인권재판소판결을 통해 본 이혼할 권리 - 존스턴 대 아일랜드 판결 및 피오트로프스키 대 폴란드 판결
- 유언과 상속재산의 보전 - 약자상속인 보호를 중심으로
- 독일의 성별기록자기결정법의 기본 내용과 가족법 관련 문제에 대한 소고
- ‘혼인의 사실상 파탄’의 의의에 관한 연구
- 보호출산제의 시행과 향후 과제
- 부양계약
- 민법상 배우자 상속분 개선방안에 관하여
- 오스트리아 상속법의 소개 - 법정상속을 중심으로
- ‘상속법 개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상속재산의 범위 규정의 개선방안
- 유류분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 - 불소급형성권설을 중심으로
- 과거 양육비 청구의 성질과 소멸시효에 관한 소고 - 대상결정: 대법원 2024. 7. 18 자 2018스724 전원합의체 결정
- 계약명의신탁 부동산의 생전증여와 특별수익 -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3다304568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자녀의 성·본 결정과 모의 성으로의 변경기준 - 대법원 2022. 3. 31. 자 2021스3 결정을 중심으로
- 이혼소송에서의 재산분할과위자료 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서울고등법원 2024. 5. 30. 선고 2023르20051, 20068 판결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피상속인의 사망 후 인지된 자의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과 제척기간 - 헌법재판소 2024. 6. 27. 2021헌마1588 결정을 중심으로
- 기여분, 보상적 증여, 유류분 - 헌법적, 비교법적 및 입법론적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