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MBTI의 사회적 인식 분석
이용수 168
- 영문명
- Social Perceptions of MBTI Using Social Media Big Data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조은별(Eun-Byul CHO)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5호, 201~2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의 MBTI에 대한 높은 관심 속에 형성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여, 상담 및 교육의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20년 1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소셜미디어에 공유된 텍스트에 대하여 빈도, 빈도-역빈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나’, ‘사람’, ‘좋다’, ‘유형’ 등의 단어의 중요도가 높게 확인 되었다.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여, ‘나와 타인의 이해 수단으로 인식(토픽 1)’, ‘상담·교육 도구로서 전문적 활용(토픽 2)’, ‘적용 범위의 심화·확장을 통한 개성 표현(토픽 3)’이라는 3 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MBTI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개인의 이해를 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지만, 전문가의 개입 없이 무분별하게 공유되는 정보로 오남용의 우려가 확인된다. 이와 관련하여, MBTI와 관련된 심화 상담 프로그램, 상담 전략, 오남용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등의 학술적, 실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by examining social perceptions surrounding the growing interest in MBTI. Using text mining on social media texts from January 2020 to July 2024, keywords such as 'self,' 'person,' 'good,' and 'type' were highlighted. Three main themes emerged through topic modeling: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Topic 1),” “Professional use in counseling and education (Topic 2),” and “Individual expression through expanded application (Topic 3).” The findings indicate that MBTI is widely seen as a personal understanding tool, but there are concerns about misuse without professional guidance.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developing advanced counseling programs, strategies, and guidelines to prevent misus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의 역할상실과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인구학적 특성과 관계수준 및 생활양식이 성폭력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
- 복합외상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와 매개변인의 하위요인 탐색
- 인스타그램 상향비교와 수치심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AEDP 과정에서 현존 경험의 의미: ‘변형’으로의 동행
- 사회정책과정 단계별 관련 괘의 사회정책적 해석과 정책적 과제
- 상담자 대상 소진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인터넷중독 청소년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 연구: 상담자 경험을 중심으로
- 특별교육학생을 위한 PERMA모델 기반의 학교적응유연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군 간부 관련 군 상담 연구 동향: 2013년-2023년 학술지, 학위 논문 중심으로
- 성인의 아동 및 청소년기 트라우마 경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MBTI의 사회적 인식 분석
- 심리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상담자 경력에 따른 차이 비교
- 문화적응 어려움을 극복하는 심리적 자원으로서 끈기가 중국 유학생의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의 동료에 대한 주관성 연구: 국내 EAP기업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분석을통해살펴본인공지능(AI)에 대한 인식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