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역할상실과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93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Role Lo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서영선(Young-Seon SEO) 이아라(A-Ra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5호, 7~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역할상실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3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업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역할상실과 우울의 관계를 자존감이 매개하고 이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할상실로 인한 우울을 경험하는 노인들을 위해 어떠한 개입이 효과적일지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los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conducted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 analysis to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05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through an online survey compan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on the effect of role loss on dep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on the 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loss, self-esteem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evidence for psychotherapy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experiencing depression due to role lo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의 역할상실과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인구학적 특성과 관계수준 및 생활양식이 성폭력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
- 복합외상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와 매개변인의 하위요인 탐색
- 인스타그램 상향비교와 수치심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AEDP 과정에서 현존 경험의 의미: ‘변형’으로의 동행
- 사회정책과정 단계별 관련 괘의 사회정책적 해석과 정책적 과제
- 상담자 대상 소진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인터넷중독 청소년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 연구: 상담자 경험을 중심으로
- 특별교육학생을 위한 PERMA모델 기반의 학교적응유연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군 간부 관련 군 상담 연구 동향: 2013년-2023년 학술지, 학위 논문 중심으로
- 성인의 아동 및 청소년기 트라우마 경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MBTI의 사회적 인식 분석
- 심리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상담자 경력에 따른 차이 비교
- 문화적응 어려움을 극복하는 심리적 자원으로서 끈기가 중국 유학생의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의 동료에 대한 주관성 연구: 국내 EAP기업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분석을통해살펴본인공지능(AI)에 대한 인식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