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EDP 과정에서 현존 경험의 의미: ‘변형’으로의 동행

이용수 68

영문명
The Meaning of Present Experience in the AEDP Process: Accompanying Toward ‘Transformation’
발행기관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저자명
김소연(So-Yeon KIM)
간행물 정보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5호, 85~10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EDP 과정에서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AEDP는 치료 시작부터 교정적 애착 경험을 제공하고, 내담자의 트랜스포먼스(Transformance)를 발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변형체험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한 여 성의 상담 내용, 상담 후 그린 그림과 일기, 그리고 후속 면담내용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단 회기 AEDP 경험은 내담자와 치료사의 동행 체험으로, ‘만남’, ‘머무름’, ‘변형’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만남’은 ‘진정한 타자와의 만남’과 ‘몸과의 만남’, ‘머무름’은 ‘타자와의 머무름’과 ‘몸의 이미지에 머무름’, ‘변형’은 ‘몸의 변형’과 ‘내러티브의 변형’의 소주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담자의 ‘변형’은 내담자와 치료사의 현존함과 관계맺음을 통해 몸의 감각과 정서적 경험, 내러티브의 차이를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나선형적 과정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AEDP의 이론적 타당성을 뒷받침하고 정교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within the AEDP process, focusing on providing a corrective attachment experience and creating a transformative space for the client.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one woman's counseling session, including her drawings, diaries, and interviews. Using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ngle-session AEDP experience was an accompaniment between the client and therapist, embodying the themes of 'meeting', 'staying', and 'transforming'. 'Meeting' included 'meeting the true other' and 'meeting with the body'; 'staying' involved 'staying with the true other' and 'staying with the body’s image'; and 'transforming' encompassed 'body transformation' and 'narrative transformation'. The client's ‘transformation’ was revealed as a spiral process in which bodily sensations, emotional experiences, and narrative differences are repeatedly generated through the pres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therapist. This study modestly contributes to validating and elaborating AEDP theor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연(So-Yeon KIM). (2024).AEDP 과정에서 현존 경험의 의미: ‘변형’으로의 동행. 상담심리교육복지, 11 (5), 85-106

MLA

김소연(So-Yeon KIM). "AEDP 과정에서 현존 경험의 의미: ‘변형’으로의 동행." 상담심리교육복지, 11.5(2024): 85-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