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구학적 특성과 관계수준 및 생활양식이 성폭력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8
- 영문명
-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Level, and Lifestyle on Victim Blaming of Sexual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우윤희(Yun-Hee WOO) 김태경(Tae-K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5호, 67~8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특성과 관계수준 및 생활양식이 성폭력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 탐색을 위해 성인 남녀 363명을 대상으로 한 양적연구와 성인남녀 17명을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연구 결과 피해자 비난의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참가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가해자가 낯선 사람일수록, 피해자의 생활양식이 개방적일 수록 피해자를 더 많이 비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사례연구 결과 도출된 피해자 비난의 관계수준 관련 이유는 ‘폭행범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는 착각’, ‘술이 유죄-범인 은 무죄’, ‘싫다고 말하지 않은 죄’, ‘남성의 성충동은 순전히 여성 탓’, ‘예방은 셀프였고, 생활양식 관련 이유는 ‘남성의 성 충동은 항상 옳다는 착각’, ‘개방성은 강간당하고 싶다는 신호?’, ‘인과응보’로 요약되었으며 모두 성역할 고정관념에 기반한 성차별주의라는 상위주제로 수렴되었다. 이를 토대로 2차 피해자화의 실효적인 예방전략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피해자 비난의 원인탐색을 위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study of 363 adults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17 adul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level, and lifestyle on blaming victims of sexual violenc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s in victim blaming were not 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older the participant, the stranger the perpetrator was, and the more open the victim's lifestyle, the more they blamed the victim.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case study, the reasons for victim-blaming were summarized as ‘the illusion that the offender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alcohol is guilty-the offender is innocent’, ‘the crime of not saying no’, ‘a man’s sexual impulse is entirely the woman’s fault’, ‘prevention is self’, ‘the illusion that men's sexual impulses are always right', 'open lifestyle is a sign of wanting to be raped', and 'retribution'. They converged into sexism based on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discussion, suggestions were made on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for secondary victimization and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1
Ⅲ. 연구 2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의 역할상실과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인구학적 특성과 관계수준 및 생활양식이 성폭력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
- 복합외상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와 매개변인의 하위요인 탐색
- 인스타그램 상향비교와 수치심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AEDP 과정에서 현존 경험의 의미: ‘변형’으로의 동행
- 사회정책과정 단계별 관련 괘의 사회정책적 해석과 정책적 과제
- 상담자 대상 소진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인터넷중독 청소년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 연구: 상담자 경험을 중심으로
- 특별교육학생을 위한 PERMA모델 기반의 학교적응유연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군 간부 관련 군 상담 연구 동향: 2013년-2023년 학술지, 학위 논문 중심으로
- 성인의 아동 및 청소년기 트라우마 경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MBTI의 사회적 인식 분석
- 심리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상담자 경력에 따른 차이 비교
- 문화적응 어려움을 극복하는 심리적 자원으로서 끈기가 중국 유학생의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의 동료에 대한 주관성 연구: 국내 EAP기업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분석을통해살펴본인공지능(AI)에 대한 인식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