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구실 안전교육방법에 따른 안전분위기,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동기, 안전행동 간의 차이 분석

이용수 22

영문명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according to laboratory safety education method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한민(Min Ha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5호, 137~15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실 안전교육에서 교육방법에 따른 교육성과 차이를 확인하여, 안전교육방법에 따른 효과성을 확인하고 향후 연구실 안전정책 및 기관의 안전교육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성과와 관련된 변인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안전분위기,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동기, 안전행동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실안전법을 적용받는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2024년 4월에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51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 516부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는 SPSS 26.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교육은 온라인교육에 비해 안전분위기,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동기, 안전행동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연구실 안전교육에서는 집합교육이 더 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유형별 안전교육방법에 따른 변인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모든 기관에서 집합교육이 온라인교육보다 안전교육성과가 좋은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대별 안전교육방법에 따른 변인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모든 20대부터 50대 이상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집합교육이 온라인교육보다 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연구실 안전교육의 성과적 측면에서는 집합교육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실안전법을 적용받는 기관에서는 연구분야, 경력 등 연구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집합교육을 운영함에 있어 교육시기를 잘 설정하고 장소, 비용 등을 충분히 확보하여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outcomes according to educational methods in laboratory safety education,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methods, and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laboratory safety policies and safety education operations of institutions. To this end,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al outcomes were selected as safety climate, 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through prior research,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24 targeting research workers subject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A total of 551 copi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final 516 copi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to conduct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ctive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afety climate, 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than online education, indicating that collective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in laboratory safety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safety education methods by type of institution, collective education showed better safety education outcomes than online education in all institutions. Thir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safety education methods by age group, collective education showed better outcomes than online education in all age groups from those in their 20s to those in their 50s and older. Finally, in terms of performance, laboratory safety education needs to be operated as collective education, and institutions subject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should organize and implement a curriculu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such as research fields and careers. In addition, when operating collec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training period well and secure sufficient locations and costs to operate effective safet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민(Min Han). (2024).연구실 안전교육방법에 따른 안전분위기,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동기, 안전행동 간의 차이 분석. 안전문화연구, (), 137-151

MLA

한민(Min Han). "연구실 안전교육방법에 따른 안전분위기,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동기, 안전행동 간의 차이 분석." 안전문화연구, (2024): 137-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