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죄피해평가를 활용한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 분석

이용수 23

영문명
Analysis on the Re-victimization Factors of Crime Victims Using the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성현준(Hyun Jun Sung) 이지혜(Ji Hae Lee) 홍동규(Dong Gyu Hong) 박명호(Myoung Ho Par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5호, 105~11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을 범죄피해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파악하여 재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자의 일상회복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2년간(2023년~2024년) 범죄피해평가보고서 215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범죄피해평가보고서에서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상위요인 4개(경제, 신체, 사회, 2차 피해) 중 2점 척도로 구분된 47개의 하위항목을 코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범죄피해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재피해를 겪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대조한 독립표본 t-test, 재피해를 예측하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피해를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이혼·별거 등 가족해체, 실직 또는 학업 중단, 직장, 이웃관계 등에서 피해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사회적 관계망 훼손으로 인한 이사 및 이직, 사회생활에서의 전반적 어려움, 가해자의 접촉, 가해자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소문이 유의하게 높았고 가해자의 원치 않는 방문은 유의하게 낮았다. 재피해 여부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이는 변인은 관계망 훼손으로 인한 이사·이직과 가해자에 의한 근거 없는 비난, 소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범죄피해자 재피해를 위한 개입의 필요성, 피해자 보호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re-victimization of crime victims based on the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to derive supportive measures to prevent re-victimization and help the daily recovery of the victims. For this purpose, 215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conducted during the last two years (2023-2024) were collected. From the collected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47 sub-questions among the four major factors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secondary damage) which were rated on a two-point scale were code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rime victims, independent samples t-test comparing those who experienced re-victimization and those who did no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predict re-victimization.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experienced re-victimizatio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erience family disruption, such as divorce or separation; job loss or study interuption; negative perceptions of the victim at work or in neighborhoods; moving or changing jobs due to damaged social network; general difficulties in social life; contact with the perpetrator; groundless accusations and rumors from the perpetrator; and unwanted visits from the perpetrator. Variables with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re-victimization were found to be moving or changing jobs due to damaged social network, and groundless accusations and rumors from the perpetrator. Based on the finding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prevent re-victimization and policies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 법
Ⅳ. 결 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현준(Hyun Jun Sung),이지혜(Ji Hae Lee),홍동규(Dong Gyu Hong),박명호(Myoung Ho Park). (2024).범죄피해평가를 활용한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 분석. 안전문화연구, (), 105-118

MLA

성현준(Hyun Jun Sung),이지혜(Ji Hae Lee),홍동규(Dong Gyu Hong),박명호(Myoung Ho Park). "범죄피해평가를 활용한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 분석." 안전문화연구, (2024): 105-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