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이용수 8
- 영문명
- An Essay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오현아(hyeonah Oh) 박민신(mins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9권 제1호, 199~2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정책과 실상을 통하여, 식민 지배 상태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어떤특색을 갖고 있는가를 살피는 동시에 교재사적인 측면에서 일제강점기 당시의 조선어 교재를 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의 연구사적 의의를어문 교육 교재사 차원에서 1) 국어교육 차원과 2) 한국어교육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가능성을 공교육의 차원에 한정해 1) 전체 문법범주 인식의 차원, 2) 개별 문법 범주 기술의 차원, 3) 조선인과 일본인의 조선어 문법 인식 비교-대조 차원으로 탐색하였다. 이러한논의를 시작으로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가 교재사 차원에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접점이 되는 영역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characteristics the Korean education has under the condition of colonial rule, and at the same time to historically consider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aspect of textbook history through the policy and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For this, the historical research significance i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was divided and presented 1) in the dimens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extbook history and 2)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grammar unit. A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restricted to the dimension of public education,1) in the dimension of whole grammar recognition, 2) in the dimension of describing individual grammar category, and 3) in the dimension of comparison-contrast of Korean language grammar recogni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Beginning with this discussio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s to be discussed regularly as an area of a contact point for both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textbook history.
목차
1. 들어가며
2. 왜 일제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인가?
3.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의 연구사적 의의
4.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사례 : 조사를 중심으로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어 강독 수업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중국 S대학교 한국어과 사례를 중심으로
- {명사+ 동사 ‘부리다·떨다·피우다‘} 연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 외국인 학습자에 따른 한국문화 인식 조사: 학문목적과 직업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 다문화 교육 현장에서의 비언어적 신체 한국어의 습득 양상 연구: 결혼 이민자 여성의 경우를 중심으로
-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화교육과 문화적응: 설화 <시부모 길들인 며느리>를 중심으로
-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 일지 연구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관한 연구
- 문화를 가르친다는 것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