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교육 현장에서의 비언어적 신체 한국어의 습득 양상 연구: 결혼 이민자 여성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Nonverbal Behavior Acquisition of the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Classroom of Kore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석주연(Ju Yeon Su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9권 제1호, 79~9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사회에서 결혼 이민자 여성을 구성원으로 한 다문화 가정이 늘면서 그들의 한국어 또는 한국 문화 습득의 현황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언어교육에 있어서 비언어적 요소가 학습자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적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 절대적인 점을고려할 때 결혼 이민자 여성의 비언어적 신체 한국어의 습득 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이들의 상호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는 다문화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 이민자 여성의 출신 언어권별 신체 한국어의 습득 현황을 조사하는 한편, 출신 언어권 변인이 이들의 신체 한국어 오답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분산분석을 실시해 분석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re has been a great increase in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in Korea. Their communicational competence including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skill has attracted the interests of many researchers. Considering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people should help the immigrant being free from suffering and discrimination caused by lack of proper communication skill, the acquisition of Korean nonverbal behavior skill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adjustment to Korean society. The ability of communicating through Korean nonverbal behavior help them to acquire self-esteem and emotional stability. We select a few Korean nonverbal behaviors they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and measure how much their defective skills of nonverbal Korean are influenced by their native nonverbal behavior skills. We analyse results by one way ANOVA technique.
목차
1. 서론
2. 신체 언어와 다문화 교육
3. 결혼 이민자 여성의 비언어적 신체 한국어 습득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어 강독 수업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중국 S대학교 한국어과 사례를 중심으로
- {명사+ 동사 ‘부리다·떨다·피우다‘} 연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 외국인 학습자에 따른 한국문화 인식 조사: 학문목적과 직업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 다문화 교육 현장에서의 비언어적 신체 한국어의 습득 양상 연구: 결혼 이민자 여성의 경우를 중심으로
-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화교육과 문화적응: 설화 <시부모 길들인 며느리>를 중심으로
-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 일지 연구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관한 연구
- 문화를 가르친다는 것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