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Korean Learners’ Intercultural literacy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 Text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오지혜(Ji Hye Oh)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9권 제1호, 173~19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언어는 곧 문화라는 일체론적 관점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언어문화교육의 초점을 ‘리터러시’에 두고 있다. 이는 언어문화교육의 목표를 단순히 언어 표현, 기술을 위한지식에서 벗어나 ‘삶의 방식’을 경험하는 문제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문화 간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복합 양식적 특성을 지닌 광고 텍스트를 통해 지식, 기술, 태도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한국 언어 문화를 경험할 수 되는데, 텍스트 이해에 있어서 텍스트성 기반의 해석의 초점화 문제는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언어 문화 교육’에서 학습자들은 자신과광고 텍스트 내의 언어 문화적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텍스트 해석을 하게 되고, 이때 해석의 방향은 언어 문화적 정보를 ‘초점화’하는 양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텍스트성 기반의 초점화를통한 텍스트 이해에서 학습자들은 주표제(헤드라인)를 생산함으로써 언어 문화적 표현 활동을 하게 된다. 즉, 독자로서 학습자들은동일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성에주목하여 텍스트 전체에 걸쳐 전달하는 정보 가운데 가장 중요한정보에 초점화하여, 스스로 의미를 선택, 조직, 재구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언어문화적 지식, 기술, 태도, 비판적 인식에 따라 해석의 초점화 양상을 달리함으로써 광고 텍스트를 이해, 수용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문화 간 리터러시가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literacy’ for language-culture education from the integrated viewpoint of language and culture.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paper suppose Korean language-culture teaching using advertisement texts for learners’ intercultural literacy. Eventually Korean learners comprehend texts and enhance intercultural literacy by focusing their own language-cultural information regarding texts from four aspects, knowledge, skills, attitude, critical awareness.

목차

1. 서론
2. 언어문화 교육과 문화 간 리터러시
3.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광고 텍스트의 활용
4. 문화 간 리터러시를 위한 광고 텍스트 교육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지혜(Ji Hye Oh). (2012).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9 (1), 173-197

MLA

오지혜(Ji Hye Oh).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9.1(2012): 173-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