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수 16

영문명
Acculturation Process and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A case of International Student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신영지(Young Ji Shi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9권 제1호, 101~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외국어 습득과정에서 학습자는 필연적으로 자문화와 목표언어의문화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언어는 문화의 산물이며 양자는 서로긴밀하게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학습의 과정에서문화적 충격과 문화의 수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외국어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의하여 언어를 통한 문화의 습득을 모색하게 되는데 그 한 가지가 문학의 활용이다. 문학작품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가 함축된 자료이며 언어적자료로서의 가치도 높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교육은 텍스트의 수용과정에 교육이 개입하여 문학이 독자에게 수용되는 과정에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문학작품을 외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언어능력의 향상만이 아니라 학습자(독자)가 작품(텍스트)을 이해하는 과정에 교육이 관여하여 대상언어의 문화를 이해하고 문학작품의 향유도 꾀하게 된다. 또한 그 과정에서 외국어 학습자가 겪는문화적 스트레스나 문화 부적응은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작품 안에 내재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적응 단계를 거치며 줄어들 수 있다. 그러한 효과는 한국어 문학교육에서도동일하게 적용된다. 한국어 문학교육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을 대상으로도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유학생들이 겪는 1차적인 어려움은 한국어와 대학수업과 관련된 것이지만 대다수가 생활습관과 사고의차이로 인한 문화적 스트레스와 부적응을 경험한다. 이 논문은 유학생 대상으로 개설된 한국어 문학수업에서 문학작품의 향유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자들의 문화적응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능력의 향상과 함께 한국문학에 대한 지식을 쌓고 아울러 이질화와 동질화 경험을 통해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 문화의 수용과 이해를 통해 단편적으로나마 문화적응의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영문 초록

While acquiring a foreign language, learners undoubtedly experience cultural collision between a target language and theirs. It is because language is a product of culture and has been formed through cultural background. Thus, it is natural for learners to accept culture shock and, in the end, embrace it. Considering this point of view,literary works of the target language is one of the best ways to learn a foreign language in education. Literature is historical materials of the people who share the same sentiments, thoughts, and living by using the same language. It contains invaluable abundant linguistic materials. If the literary works are used in the language education, it is possible for the learners to understand culture and improve their linguistic ability of the target languag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make the learners to ease their emotional feelings by appreciating them. Thus, they can sometimes work as a resource to reduce the learners’ stress and maladjustment to the culture while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This fact can also be applied to the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students who have recently grown so fast in colleges in Korea. The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of all, have a problem with acquiring a Korean language and later they experience cultural maladjustment due to different life habits and thoughts. It is certain that by learning Korean literary works, learners can not only improve their linguistic ability, but they also find a way to lessen their cultural stress and maladjustment. This research is for introducing the Korean literary works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colleges and examining their usefulness.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어 문학교육과 문화적응 가능성
3. 문화적응과 유학생의 한국어 문학교육
4. 유학생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의 실제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영지(Young Ji Shin). (2012).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화학, 9 (1), 101-128

MLA

신영지(Young Ji Shin).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화학, 9.1(2012): 101-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