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사+ 동사 ‘부리다·떨다·피우다‘} 연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search on Collocational Structure {Noun+Verb ‘부리다·떨다·피우다’} - In the viewpoint of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나카가와 아키오(Nakagawa, Aki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9권 제1호, 39~7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동사‘부리다ㆍ떨다ㆍ피우다’가 구성요소인 어휘적 연어의특징을 파악하고 이들 연어에 대한교육 방법을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고안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이들 세 가지 동사는서로 대치되거나 기타 동사들과 대치되면서 다양한 어휘적 연어를형성한다. 그래서, 한국어의 어휘 체제에 대한 심리적 타당성이 없거나 약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습득하기 어려운 학습 항목의하나이다. 분석에 앞서 연어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다음에 정의에따라 13종류의 (한)국어사전을 근거로 해서 모델적 항목을 설정했다. 그 결과, 사전마다 제시된 항목의 통일성이 결여된 상황이 나타났다. 세 가지 동사가 지니는 의미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같았다.
ㆍ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본동사‘부리다ㆍ떨다ㆍ피우다’에 대해 각각독특한 의미를 느끼고 있다.
ㆍ연어 구성에서의 동사의 대치 현상은 각 본동사로서의 의미적특징에 의존해서 일어나지 않는다.
ㆍ본동사로서, 연어를 구성하는 동사로서 지니는 의미적 특징 사이에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부리다 떨다 피우다+표출성 +표출성 +표출성+인위적 +인위적 ±인위적+당위성 ±당위성 ±당위성동사‘부리다ㆍ떨다ㆍ피우다’가 구성요소인 연어 구성에서 명사가선택어 역할을 하나, 일방적으로 동사를 요구하는 구조가 아니라명사와 동사가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결합하는 구조가 엿보인다.
본고는 동사‘부리다ㆍ떨다ㆍ피우다’가 지니는 의미적 특징과 한국78어 연어를 일어와 대조한 결과를‘보조 정보’로 제시함으로써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 연어를 배우는 일어 화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특히, 구성요소를 일어식 한자(어)로 대치하고 학습자에게 연어의 의미와 구조를 유추케 하는 탐구학습법을제안했다.
영문 초록
Nakagawa, Akio. 2012. The Research on Collocational Structure {Noun+Verb ‘부리다ㆍ떨다ㆍ피우다’} - In the viewpoint of Korean educat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9-1. 39-7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feature of lexical collocations whiche the verb ‘부리다ㆍ떨다ㆍ피우다’constitute and devise a effective educational(learning) method of these collocations. Since these verbs have an ambiguous basic meaning and exchange for other verbs and make variegated collocations,acquisition is very difficult for the foreign students who do not fully have the mental validity over a Korean vocabulary. In analyzing, the definition of collocations was given and model expressions were set up by using 13 kinds of Korean dictionaries according to it. Although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to show and master the system which selection words and chosen words combine in the education (study) of collocations, it is very important to aim at expressional unification. Next, to grasp the semantic feature for three verbs, the associative test which led the questionnaire to the Korean speakers was don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tents appeared.
ㆍAlmost all the Korean speakers have the semantic features which are different for three verbs.
ㆍThe exchange phenomenon of the verbs in a collocation does not originate in verbal similarity.
ㆍA common feature is among the meaning of an original verb and the meaning of the verb which constitutes collocations.
The semantic features of these three verbs are as follows.
부리다 떨다 피우다+Expression nature +Expression nature +Expression nature +Artificial +Artificial ±Artificial +Oughtness ±Oughtness ±Oughtness Though the structure where nouns make three verbs words chosen words is remarkable in the syntagmatic relation, it can be supposed that it is not depended on the nouns one-sidedly but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erbs and nouns.
The result of having compared with Japanese the collocations which these verbs constitute was made into supplementary information. I proposed the search learning using the Chinese character words of the Japanese type which symbolize the meaning of the components of collocations.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연어의 특징
4. 분석
5. 교육 방안
6.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어 강독 수업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중국 S대학교 한국어과 사례를 중심으로
- {명사+ 동사 ‘부리다·떨다·피우다‘} 연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 외국인 학습자에 따른 한국문화 인식 조사: 학문목적과 직업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 다문화 교육 현장에서의 비언어적 신체 한국어의 습득 양상 연구: 결혼 이민자 여성의 경우를 중심으로
-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화교육과 문화적응: 설화 <시부모 길들인 며느리>를 중심으로
-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 일지 연구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관한 연구
- 문화를 가르친다는 것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