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계적 학습 능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통사구조 처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role of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in the processing and learning of adjacent and nonadjacent syntactic dependencies in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이은하(Eunha Lee)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1호, 233~282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해 기반 구조적 점화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성인 한국어 학습자가 인접 통사구조인 수여구문과 비인접 통사구조인 관형절 문장에 노출된 뒤 후속문장에 대한 처리에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통계적 학습 능력이 L2 통사구조의 암시적 학습과 처리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했다. 아울러 인접구조와 비인접구조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통계적 학습 능력이 인접 L2 통사구조와 비인접 L2 통사구조의 처리·학습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또한 고찰했다. 한국어 학습자 39명을 대상으로 이해 기반 구조적 점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어휘 의존적 점화와 어휘 독립적 점화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접구조에 대한 통계적 학습 능력은 인접 L2 통사구조 표적문장 이해 정확도를 예측해주었으며, 비인접구조에 대한 통계적 학습 능력은 인접·비인접 L2 통사구조 표적문장에 대한 처리 효율성과 이해 정확도를 예측해주었다. 이는 성인 L2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구조에 대한 통계적 학습 능력이 각각 그에 상응하는 인접·비인접 L2 통사구조의 처리 효율성을 촉진하는 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priming during comprehension occurs in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L2) when prime and target sentences share the same adjacent or nonadjacent L2 syntactic dependencies as well as how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is related to the processing and learning of L2 syntactic structures. Participants performed statistical learning tasks involving adjacent and nonadjacent dependencies along, and read sentences containing Korean dative alternations (an adjacent L2 dependency) and adnominal clauses (a nonadjacent L2 dependency) in a self-paced reading task. The results revealed that prime sentences did not enhance the speed of reading times for the regions of interest in target sentences containing adjacent and nonadjacent L2 syntactic structures. However,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nonadjacent dependencies statistically predicted processing efficiency for both types of L2 sentences, whereas those in learning adjacent dependencies only predicted processing efficiency for the relevant type of L2 sentences. These findings suggest an overlap between both types of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and the relevant types of L2 sentence processing.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한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하(Eunha Lee). (2020).통계적 학습 능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통사구조 처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문화학, 17 (1), 233-282

MLA

이은하(Eunha Lee). "통계적 학습 능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통사구조 처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문화학, 17.1(2020): 233-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