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쓰기 경험에 대한 양상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Leaners’ Experience in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수미(sum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1호, 209~23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쓰기 경험을 기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자기소개서 쓰기 수업을 진행한 후, 학습자들에게 자기소개서 쓰기를 하면서 경험한 것을 자유롭게 기술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전사한 후 지속적으로 읽으면서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쓰기 자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주제에 대한 인식이 쓰기 이전의 경험의 범주로 나타났으며, 글을 쓰는 과정에서는 ‘어려움 인식’과 ‘중요성 인식’이 주요한 경험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에 대한 변화, 몰랐던 자신의 발견, 자기소개서 쓰기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쓰기 후 경험의 주요 범주에 속했다. 한국어 학습자는 자기소개서 쓰기를 통해 한국어 쓰기에서 겪는 ‘일반적인 경험’과 ‘자기소개서 쓰기의 장르적 특성’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쓰기의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describing the Korean language leaners’ experience in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study conducted the class on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nd had them freely describe in writing their experience in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To analyze its data, the study transcribed the collected data and continuously compare and analyze it. The research method found the learner’s perception of writing itself and the experience that the learner experiences in writing Korean to belong to the category of pre-writing experience. And it found in the category of experience earned through the writing process the difficulty involved in the verbal expression and the realiz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writing structure, the writing and rewriting of an overview,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feedback from teache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simultaneously hav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 of ‘discovering and understanding myself and those around me’ through personal essay wri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uggested that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should come up with its content and methodology focusing on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목차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와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토막 억양에 대한 지각 및 산출 연구
- 부사격조사에 대한 생성어휘론적 접근 : 부사격조사 '-에서'를 중심으로
- 발표 담화에서의 상대 높임법 사용 양상 및 인식 연구 - 중급 수준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합쇼체'와 '해요체' 전환을 중심으로
- 구어와 문어의 사용 실태로 본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문식성 연구
- 자기주도 학습에서의 예능프로그램 활용 가능성 모색 - 중국 내 대학의 한국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 온라인 방식 한국어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에서 변인 연구
- 조선족 대학원생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질적 탐구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후설모음 인지 오류에 대한 음운론적 접근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쓰기 경험에 대한 양상 연구
- 통계적 학습 능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통사구조 처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 Korean transnational mothers’ bilingu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 Language ideologies and practices at home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