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방식 한국어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에서 변인 연구

이용수 28

영문명
A Study of variables in the online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강석한(Seokhan Kang) 박현정(Hyunjeong Park) 이성준(Sungjun Lee) 민병곤(Byeonggon Min) 홍은실(Eunsil Hong) 안현기(Hyunkee Ah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1호, 35~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 수행에 관여하는 변인들을 추적 관찰하였다. 연구 주제는 과제 유형(서사, 설득, 설명)이 평가자(6인), 평가 유형(가형 나형), 한국어 능력수준(중급하, 중급상, 상급하, 상급상), 학력 수준(고졸, 대재, 대졸, 석사, 박사)등의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평가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4개 한국어 능력 수준(중급하, 중급상, 상급하, 상급상)에 해당하는 394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온라인 비대면 시험에 응시하였고, 6명의 한국인 교강사들이 평가를 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은 과제 유형에 따라 평가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즉, 중하급 수준의 피평가자들은 과제 유형간에 폭넓은 범위의 logit 분포를 보였지만, 상급상 수준의 피평가자들은 비교적 좁은 범위의 분포를 보였다. 또한 과제 난도(difficulty)에서도 수준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중급하 집단은 ‘서사(경험) > 설명(도표), 설득(대화) > 설득(지문 > 설득(강의) > 설명(그림)’순으로 일상적인 경험 표현이 비교적 쉬운 영역이지만, 상급상 집단에서는 ‘설득(강의) > 설득(대화) > 설명(그림) > 설명(도표) > 설득(지문 > 서사(경험)’순으로서 학문 영역 과제가 비교적 쉬운 영역으로 나타났다. 가형 및 나형 평가지에 따라서 가장 어려운 난도에 해당하는 과제는 달랐다. 가형 평가지에서는 설명(그림) 과제가, 나형 평가지에서는 설득(강의) 과제가 가장 난도가 큰 과제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온라인 비대면 평가에서는 과제 설계도 중요하지만, 이런 변수들을 고려할 수 있는 평가자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Foreign students learning Korean took part in an online speaking test to evaluate their ability to speak Korean.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covered the effects the task types have on L2 test-takers’ proficiency, test types, and raters. Furthermore, the authors investigated what the results imply regarding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language tests. The authors divided the 394 participants into four proficiency levels: mid-low, mid-high, high-low, high-high. Six native speakers were invited to assess the rating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Korean proficiency levels on ratings differed depending on test type. The subjects of the mid-low level showed a wide range of logic across the tasks, while those of high-high level a narrow range. Moreover, the degree of difficulty on both levels could be ordered as follows: ‘story (experience) > explain (table), persuasion (dialog) > persuasion (read) > persuation (lecture) > explain (picture)’ for the mid-low group, and ‘persuasion (lecture) > persuasion (dialogue)> explain (picture) > explain (table) > persuasion (read) > story (experience)’ for the high-high group. The most difficult task, however, was the different test types: the persuasion task (lecture) on the B type and the explanation task (picture) on the A type. The study revealed that rater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case of an online, non-interview speaking test.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석한(Seokhan Kang),박현정(Hyunjeong Park),이성준(Sungjun Lee),민병곤(Byeonggon Min),홍은실(Eunsil Hong),안현기(Hyunkee Ahn). (2020).온라인 방식 한국어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에서 변인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7 (1), 35-62

MLA

강석한(Seokhan Kang),박현정(Hyunjeong Park),이성준(Sungjun Lee),민병곤(Byeonggon Min),홍은실(Eunsil Hong),안현기(Hyunkee Ahn). "온라인 방식 한국어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에서 변인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7.1(2020): 3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