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사격조사에 대한 생성어휘론적 접근 : 부사격조사 '-에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Generative lexical approach to adverbial case maker : Focus on the adverbial case maker ‘-eseo’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우창현(Changhyun Wo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1호, 157~1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글은 부사격조사들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어떻게 설명하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것을 ‘-에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양한 문법 의미들이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다양한 문법 의미들이 나타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글에서는 Pustejovsky(1991)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성어휘론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부사격조사가 가지는 기능과 문법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Pustejovsky(1991)에서는 단어의 의미들이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문장에서 다른 단어들과 결합하였을 때 다양한 의미들을 생성해낸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다양한 의미들을 생성해 내는 문법적 장치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Pustejovsky(1991)의 생성어휘론에서는 어휘가 ‘논항구조(Argument Structure), 사건구조(Event Structure), 특질구조(Qualia Structure), 어휘상속구조(Lexical Inheritance Structure)’로 구성된 것으로 전제하고 강제유형일치(Type Coercion), 선택적 결속(Selective Binding), 공동 합성(Co-copmposition)과 같은 생성 기제들이 이들을 특정한 문맥에서 주어진 어휘 요소들의 합성적 해석을 제공하는 것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글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참고하여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서’의 문법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은 ‘-에서’의 문법 의미가 실제 문장에서 서술어 등과의 결합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 ‘공부하다, 받다, 출발하다, 주최하다’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공부하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에서’의 ‘(구체적)장소’의 문법 의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받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수여자’의 문법 의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출발하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출발점(출발하는 장소)’의 문법 의미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최하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행위자’의 문법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ways to explain the various meanings of adverbial partic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adverbial particle ‘-eseo’. Particularly the reasons as to why there are various grammatical meanings and the appropriate ways to explain the same. It examines the function and grammatical meaning of adverbial particle (case) using the generative lexical approach proposed by Pustejovsky (1991). He suggests that words have complex internal structure and produces various meanings when combined with other words in a sentence and further discusses the grammatical devices that lead to the production of such various meanings. In Pustejovsky’s (1991) Generative Lexicon Theory, a lexical item consists of Argument Structure, Event Structure, Qualia Structure and Lexical Inheritance Structure. And generative devices such as Type Coercion, Selective Binding and Co-composition provide a composite interpretation of a given lexical element in a particular context. In view of this, this paper discusses the grammatical meaning of Korean language adverbial case marker ‘-eseo’. The paper further works on finding the various meanings of ‘-eseo' when combined with the predicate of a sentence such as ‘공부하다 (to study), 받다 (to receive), 출발하다 (to depart), 주최하다 (to host), etc. The result shows that when ‘-eseo’ is combined with 공부하다 (to study), the grammatical meaning of ‘-eseo’ is that of a ‘specific place’ and when combined with 받다 (to receive), the grammatical meaning of ‘-eseo’ shows that of ‘the recipient’. With출발하다 (to depart), ‘the starting point (place of departure)’ and finally, with주최하다 (to host), ‘a doer or performer’.
목차
1. 서론
2. 생성어휘론적 방법
3. ‘-에서’의 기능과 문법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토막 억양에 대한 지각 및 산출 연구
- 부사격조사에 대한 생성어휘론적 접근 : 부사격조사 '-에서'를 중심으로
- 발표 담화에서의 상대 높임법 사용 양상 및 인식 연구 - 중급 수준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합쇼체'와 '해요체' 전환을 중심으로
- 구어와 문어의 사용 실태로 본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문식성 연구
- 자기주도 학습에서의 예능프로그램 활용 가능성 모색 - 중국 내 대학의 한국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 온라인 방식 한국어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에서 변인 연구
- 조선족 대학원생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질적 탐구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후설모음 인지 오류에 대한 음운론적 접근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쓰기 경험에 대한 양상 연구
- 통계적 학습 능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통사구조 처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 Korean transnational mothers’ bilingu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 Language ideologies and practices at home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