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토막 억양에 대한 지각 및 산출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Chinese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ccentual Phras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가맹맹(Mengmeng Jia)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1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말토막을 구성하는 음절수와 초성의 성질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산출하는지, 그리고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말토막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말토막 억양 패턴 사이의 음성학적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지가 아니라 각 말토막 억양 패턴을 내재화시킬 수 있는지가 학습자의 산출 정답률과 관련된다. 둘째, 지각과 산출의 관계는 말토막에 포함된 음절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서 지각과 산출의 관계는 단순한 인과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초성에 대한 지각 정답률과 산출 정답률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음절수의 차이는 초성에 대한 지각 정답률과 산출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말토막 억양에 대해 교육할 때 단순한 지각훈련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교육과 초점 훈련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ese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ccentual phr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composing the accentual phrases and the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and come up with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accentual phrase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duction accuracy is related to whether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pattern of accentual phrases, instead of whether learners can point out the difference among the patterns of accentual phras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relationship is not based on a simple causal system. Third, when it comes to the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accuracy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but the difference in syllable numbers does not affect this accurac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while teaching accentual phrases, not only perceptual training but also explicit and focused training is needed.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선행연구 검토
3. 실험 대상 및 방법
4. 실험 결과 분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토막 억양에 대한 지각 및 산출 연구
- 부사격조사에 대한 생성어휘론적 접근 : 부사격조사 '-에서'를 중심으로
- 발표 담화에서의 상대 높임법 사용 양상 및 인식 연구 - 중급 수준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합쇼체'와 '해요체' 전환을 중심으로
- 구어와 문어의 사용 실태로 본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문식성 연구
- 자기주도 학습에서의 예능프로그램 활용 가능성 모색 - 중국 내 대학의 한국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 온라인 방식 한국어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에서 변인 연구
- 조선족 대학원생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질적 탐구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후설모음 인지 오류에 대한 음운론적 접근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쓰기 경험에 대한 양상 연구
- 통계적 학습 능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인접·비인접 통사구조 처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 Korean transnational mothers’ bilingu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 Language ideologies and practices at home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