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벽 없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 세종학당재단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영문명
A pilot study for ‘barrier-free’ Korean language education : The development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s Korean Langu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Beginning textbook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강남욱(Nam-wook Kang) 최권진(Gwon-ji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0권 제3호,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벽 없는 한국어 교육의 학습권이라는 관점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고려하여야 할 원리와 개발 방향을 실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시각장애의 개념과 함께 점자의 개요를 살펴보고, 이어서 시각장애인 대상의 외국어 학습의 가능성과 수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시각장애인 학습자의 요구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기존에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저본으로 삼아 이를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재로 변환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개발 방향으로서 여덟 가지의 원칙을 설정하였다. 이어 2021년부터 2022년 사이에 개발한 세종학당재단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 1~6권의 교수요목과 특성을 제시하고, 설계의 방향이 실제 교재를 만드는 절차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구성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교재 개발의 결과, 해당 교재를 지도할 수 있는 교사 양성의 필요성, 점자 교육과는 별개로 오디오를 중심으로 한 음성 교재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벽 없는 한국어 교재 개발이 좀더 진일보하게 논의되어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tailored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approaches this task from the perspective of ensuring the right to Korean education without barriers, drawing insights based on actual development cases. The study begins by providing an overview of braille and the concept of visual impairment. It subsequently explores the possibilities and demands associated with foreign language learning for individuals with visually impairments. Based on the needs of blind learners and theoretical evidence, the study establishes eight principles guid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the visually impaired by adapting existing materials. We then present the teaching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volumes 1-6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s Korean Langu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Beginning. Developed between 2021 and 2022, these volumes illustrate how the design direction was incorporated and organized in the creation of the textbooks. These results reveal the need to train teachers on how to effectively use the textbook,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udio-centered textbooks separate from braille instruction, and the need to further discuss the development of barrier-free Korean textbooks.

목차

1. 서론
2.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 교육
3.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의 설계와 제작
4.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남욱(Nam-wook Kang),최권진(Gwon-jin Choi). (2023).‘장벽 없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 세종학당재단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0 (3), 1-34

MLA

강남욱(Nam-wook Kang),최권진(Gwon-jin Choi). "‘장벽 없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 세종학당재단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0.3(2023):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