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사 문법 교수를 위한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 연구 - ‘와/과, 하고, (이)랑’을 중심으로
이용수 12
- 영문명
- Creating a Spiral Syllabus for Teaching Similar Grammatical Items : Focusing on wa/gwa, hago, (i)ra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신범숙(Beomsuk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0권 제3호, 199~23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와/과, 하고, (이)랑’을 중심으로, 유사 문법 교수를 위한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사 문법 항목의 형태ㆍ의미ㆍ맥락 정보 명세화를 통해 항목 간 변별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지점을 살폈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해, 중급 이후 단계에서 ‘와/과, 하고, (이)랑’의 변별적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세 항목이 모두 초급 단계에서 제시됨으로 인해, 이들 문법의 맥락 정보가 충분히 교수되지 못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초급에서 고급 단계에 걸친 ‘와/과, 하고, (이)랑’의 제시 단계와 각 단계별 교수 학습의 초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급 이후 단계에서 문법 사용의 적절성을 제고할 수 있는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methods of constructing a spiral syllabus for teaching similar grammatical items, with a specific focus on wa/gwa, hago, and (i)rang. We first identify the points where the differentiation of these similar grammatical items are most noticeable, through a specification of their form, meaning, and context information. Next, an analysis of the learner corpus confirms that discrimination in the use of wa/gwa, hago, and (i)rang is not achieved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because all three items are introduced at the beginner level without sufficient context inform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stages of presentation of wa/gwa, hago, and (i)rang from the beginner to advanced stages and specifies the focu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each st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emonstrat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iral syllabus that enhances the appropriateness of grammar use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나선형 문법 교수요목
3. 조사 ‘와/과, 하고, (이)랑’
4. 유사 문법의 맥락 정보 교수를 위한 나선형 문법 교수요목 구성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벽 없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 세종학당재단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과 언어 치유 연구
-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문장 부호 대조 연구 - 현대몽골어의 줄임표(...), 쌍점(:), 쉼표(,)를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 능력에 대한 평가 구인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 사례를 중심으로
-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읽기 수업 구성 방안
- 화용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 연구 - 인접쌍을 중심으로
-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PBL 기반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유사 문법 교수를 위한 나선형 교수요목 구성 방안 연구 - ‘와/과, 하고, (이)랑’을 중심으로
-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수업 현황 및 요구조사
- 번역 소설에서의 중국어 재귀사 ‘自己’의 한국어 대응 양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