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읽기 수업 구성 방안

이용수 16

영문명
A Study on Improving Digital Literacy through Redesigning of Korean Reading Classe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나라(Na Ra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0권 제3호, 93~12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온라인 읽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디지털 환경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디지털 공간에서 디지털 텍스트와 독자의 역할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공간에서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고 사회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까지 온라인 읽기 이해에 대한 기초 연구도 부족하고 온라인 읽기 교육 연구에 대해서도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읽기 능력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한국어 온라인 읽기 교육의 적용을 위해 온라인 읽기 기능을 ‘정보 검색하기’, ‘정보 이해하기’, ‘정보 통합하기’,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하기’로 정리하였다. 또한 읽기 수업 내용의 구성을 위해 읽기 단계별로 온라인 읽기 이해를 돕기 위한 온라인 읽기 전략들을 정리하여 수업 구성안을 제시하고 실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온라인 읽기 수업을 위한 기초적이고 실제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n online Korean reading class is suggested to improv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s Korean learners are increasingly exposed to a plethora of information through digital platforms, they are experiencing a transformative shift in the dynamics of digital texts and readers within the digital space. Consequently,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is essential for learners to achieve communicative goals and actively engage in society. In this study, we analyze existing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and online reading, and categorize the essential online reading skills for Korean online reading education into the following domains: “locate online information,” “comprehend information,” “synthesize online information” “critically evaluate onlin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online information.” The study recommends specific online comprehension strategies tailored for each stage of reading comprehension to aid in structuring of reading classes.

목차

1. 서론
2.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구성 요소
3. 온라인 읽기 이해
4. 한국어 온라인 읽기 수업 구성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라(Na Ra Kim). (2023).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읽기 수업 구성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20 (3), 93-122

MLA

김나라(Na Ra Kim).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한국어 읽기 수업 구성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20.3(2023): 93-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