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수업 현황 및 요구조사

이용수 13

영문명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Korean Literatur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y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정서영(Seoyoung Joung) 신사명(Shamyung Shi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20권 제3호, 231~2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 개설된 <한국문학> 수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문학수업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문학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학수업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면서 더욱 효과적인 교수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 내 4년제 대학에 개설된 <한국문학> 수업 현황 등을 파악하고 중국 내 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한국문학 교재를 살펴보았다. 출판된 문학 교재 총 9권에 실린 342편의 문학작품을 분석하였고 그중 3회 이상 중복 수록된 작품이면서 수록 작가와 고전, 근대 작품의 비율을 고려하여 총 18편을 문화 항목과 함께 추출해 보았다. 다음으로 중국 대학 내 한국어 전공자 총 83명을 대상으로 <한국문학> 수업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수업 목적 및 문학작품 학습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학습 요인들에 대한 실질적인 대답을 수집하였다. 또한 <한국문학> 수업을 담당한 7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문학수업의 목적 및 교수 과정과 관련한 다양한 시각 등의 의견을 얻고자 했다. 학습자와 교수자 각각의 요구조사를 통해 양측의 공통된 의견뿐만 아니라 상이한 시각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의 문학교육이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lasses offered by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and conduct a demand survey for literature classes among learners and instructors to identify problems in literature classes. In this way, we aim to suggest a direction for literature classes to make them more effective as well as to explore teaching methods. For this reason, we first looked at the Korean literature textbooks published and used in China. We analyzed 342 literary works published in a total of nine volumes of literature textbooks and extracted a total of 18 works with cultural items, taking into account the ratio of authors and ancient and modern works includ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textbooks. Next, we conducted a survey of demand of among a total of 83 Korean language majors and seven professors at Chinese universities to collect practical answers about the purpose of the class and various learning factor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learning literary works. Through studying the need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we sought to understand not only the common opinions of both sides but also their different viewpoints. Based on this research, we suggest various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the clas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수업의 필요성 및 연구 경향
3. ‘한국문학’ 수업 현황 및 작품 추출
4. 중국 대학 내 ‘한국문학’ 수업 요구조사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서영(Seoyoung Joung),신사명(Shamyung Shin). (2023).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수업 현황 및 요구조사. 한국언어문화학, 20 (3), 231-259

MLA

정서영(Seoyoung Joung),신사명(Shamyung Shin).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수업 현황 및 요구조사." 한국언어문화학, 20.3(2023): 231-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