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이용수 14

영문명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Plurilingualism through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장은영(Eun-Young Ja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3호, 339~37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언어ㆍ다중문화시대에 교사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교사 실행공동체(a community of practice)의 가능성을 주장하며, 실제로 실행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함으로써, 다중언어주의와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8명의 현직교사이며, 약 10개월간 정기적인 줌 미팅과 상시적인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질적 연구방법(의도적 표집과 맥락적 자료수집 등)을 활용하였으나 사전ㆍ사후 설문을 통해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행공동체를 통한 교사들의 변화를 요약하면, 첫째, 생소한 영역이었던 다중언어주의 및 다중언어교육에 대해 지식적인 이해 및 인식 확장, 둘째, 이주배경 학생의 언어경험에 대한 인식 변화, 셋째, 언어 및 언어교육 전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다중언어교육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로의 전환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다중언어 교사교육을 위한 실행공동체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한 신념을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서 실행공동체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 환경의 이해와 간접 경험의 기회로서 실행공동체이다. 셋째, 지속적인 배움과 토론을 통해 지식과 이론적 이해에 기반한 수업 실행을 가능케하는 실행공동체이다. 이 연구에서 시간과 지속성의 한계, 참여자들의 서로 다른 환경으로 인한 협력적 문제해결의 제한과 동료코칭의 한계 등의 어려움을 발견하였으나 이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며, 지속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실행공동체 구축을 통해 해결가능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of a Community of Practice(CoP) in changing the participating teachers’ perception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Eight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regular and irregular online meetings for about ten months. This study adopted main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ut conducted pre- and post-surveys to report the teachers’ perceptions as a group.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CoP, the teachers were fou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unfamiliar’ topic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learning about theories and concepts; to re-think migrant students’ language use; and, to gain new perspectives on language and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proactive attitudes towards plurilingual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rgues that the CoP showed potentials for plurilingual teacher education in that it served as: a safe space to share teachers’ uncertain beliefs; an opportunity for indirect experiences of language diversity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and, a drive to develop pedagogical professionalism in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he constraints of the CoP were difficulties in sustainable learning due to limited time, hesitation in critical peer coaching,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due to the participants’ different teaching contex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교사 인식 변화
5. 실행공동체를 통한 다중언어 교사교육의 가능성과 제한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영(Eun-Young Jang). (2022).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한국언어문화학, 19 (3), 339-379

MLA

장은영(Eun-Young Jang).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한국언어문화학, 19.3(2022): 339-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