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챗봇 빌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용 챗봇 설계 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I Chatbo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hatbot Builder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정진경(Jinkyung Jung) 이진(Jin Lee) 김한샘(Hansaem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3호, 405~44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챗봇 빌더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용 챗봇을 제작하고 한국어 교수ㆍ학습을 위한 챗봇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구글에서 제공하는 챗봇 빌더인 다이얼로그플로우를 활용하여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을 개발하고 그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챗봇은 활용 목적에 따라 ‘문형 연습용’, ‘대화문 연습용’, ‘말하기 연습용’, ‘게임 활동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였고 각 챗봇의 활용 방안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원격 교육 환경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현 상황에서 챗봇이 유용한 교육용 보조 도구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챗봇 빌더를 통한 챗봇 제작과 활용은 교수자가 수업 환경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챗봇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별 학습자 맞춤형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학습자의 학습 동기나 태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chatbo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a chatbot builder and to suggest a chatbot utilization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To this end, we developed a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using Dialogflow—a chatbot builder provided by Google—and demonstrated how teachers can use the builders to create chatbo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hatbots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m into for pattern practice, textbook dialogue practice, speech practice, and gam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furthermore, the utilization method of each chatbot was summarized. These discussions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chatbots as useful educational aids in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increase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need for a distance education environment. Additionally, chatbot production and utilization through chatbot builders are expected to enable instructors to easily construct chatbots that account for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This in turn enables customized learning for individual learners; further, this is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learners’ motivation and attitudes.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챗봇 빌더의 특징과 기능
4. 한국어교육용 챗봇의 제작과 활용 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드라마 자막의 반복적 시청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러시아어권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의 시각에서 본 미국 정규학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초점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바탕으로
- 남북한 언어교육 동질성 회복을 위한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운영 사례 분석 연구
- 중국 외국어 교육 정책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과제
- 일본어 격조사 ‘から’와 대응하는 한국어 조사(助詞) 연구 - ‘부터/에서/으로’를 중심으로
-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 ‘-(으)ㄴ/는 것이다’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중도입국·외국인가정 청소년 한국어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학술적 문식성 함양을 위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 논증 연습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을 중심으로
- 연행(燕行)현장답사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고급한국어 학습자 대상 중국 내 조선 사신의 연행 유적 현장 답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학습자의 거절 화행 전략 사용 비교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중도포기 예측 모델 개발 연구 - 재한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어순 교체에 따른 한국어 피동문 실시간 처리 연구 -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챗봇 빌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용 챗봇 설계 연구
- 외국인 대학원 신입생 대상 학문 목적 쓰기 진단평가 도입에 관한 고찰 - 해외 평가 시행 현황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 목록 선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