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라마 자막의 반복적 시청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러시아어권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Repeated Watching of Drama Subtitles on Vocabulary Learning : Focusing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Russian-speaking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손지혜(Jihye Sohn) 원미진(Mijin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3호, 107~1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러시아어권 중ㆍ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드라마 자막의 반복적 시청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참여자 33명을 한국어 자막, 러시아어 자막, 무자막 집단으로 나누어 영상을 시청하기 전 어휘 테스트를 진행하고 드라마 시청 후 동일한 테스트를 일주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어 자막과 무자막 집단은 반복적 시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효과가 있었음을 밝혔다. 또한 자막별 점수 변화 양상을 기술통계값으로 확인한 결과 상위권과 하위권 모두에서 한국어 자막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위권은 무자막, 러시아어 자막이 뒤를 이었고 하위권은 러시아어 자막, 무자막이 뒤를 이어 숙달도 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현 영역으로의 확장 역시 한국어 자막 집단에서 가장 점수 향상 폭이 컸으며 상ㆍ하위권 모두 한국어 자막, 러시아어 자막, 무자막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에 있어 자막의 반복적 시청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실험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peated watching of drama subtitles on vocabulary learning for intermediate and high-level Korean learners whose L1 is Russian. The 33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groups with Korean subtitles, Russian subtitles, and no subtitles. Vocabular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watching the video, and the same test again after watching the drama, three times, one week apart. The results showed that repetitive watching was effectiv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the Korean subtitle and no subtitle groups. In addition, Korean subtitles were the most effective in both the upper and lower ranks. However, it was found that in the upper ranks, Korean subtitles were followed by no subtitles and then Russian subtitles, while in the lower ranks they were followed by Russian subtitles and then no subtitles, indicating a difference in proficiency.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expression also showed the largest score improvement in the Korean subtitle group, followed by Russian subtitles and no subtitles in both ranks. This study thus shows empirically a positive effect of repetitive watching of subtitles on Korean language learning.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실험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드라마 자막의 반복적 시청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러시아어권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의 시각에서 본 미국 정규학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초점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바탕으로
- 남북한 언어교육 동질성 회복을 위한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운영 사례 분석 연구
- 중국 외국어 교육 정책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과제
- 일본어 격조사 ‘から’와 대응하는 한국어 조사(助詞) 연구 - ‘부터/에서/으로’를 중심으로
-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 ‘-(으)ㄴ/는 것이다’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중도입국·외국인가정 청소년 한국어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학술적 문식성 함양을 위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 논증 연습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을 중심으로
- 연행(燕行)현장답사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고급한국어 학습자 대상 중국 내 조선 사신의 연행 유적 현장 답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학습자의 거절 화행 전략 사용 비교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중도포기 예측 모델 개발 연구 - 재한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어순 교체에 따른 한국어 피동문 실시간 처리 연구 -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챗봇 빌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용 챗봇 설계 연구
- 외국인 대학원 신입생 대상 학문 목적 쓰기 진단평가 도입에 관한 고찰 - 해외 평가 시행 현황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 목록 선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