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의 시각에서 본 미국 정규학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초점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바탕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The Current State of and Recommend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S K-12 Schoolsfrom the Perspective of a World LanguageKorean Teacher :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오경숙(Kyoungsook Oh) 박찬미(Chanmee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3호, 161~19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미국 정규학교 한국어 교육의 주체인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들을 인터뷰함으로써 미국 정규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의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8개 주의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는 미국 정규학교에서 다수의 비한국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국 사회와 지역 학군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어를 교육하는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2) World Language Korean은 World Language 교과 사이에서 치열한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수업의 개설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역 및 학교의 특수성, 한류, 북한 이슈, 교장의 의지, 지역 한인 및 민간단체의 노력, 한국 정부의 지원, 코로나 등 다양하다. 3) 이러한 상황에서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들은 수업뿐 아니라 교육과정 설계, 수업 설계, 교육자료 개발 등을 직접 수행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이상의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정부 차원의 지원과 미국 현지 대학, 기관, 민간단체, 학회 등의 적극적 참여, 그리고 한국과 미국 현지의 긴밀한 협업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merican K-12 schools and to propose future objectives by interviewing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teachers in eight American state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s have an identity as teachers who teach Korean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of American society and local school districts among numerous non-Korean students in K-12 schools in the U.S.; 2) Korean language is fiercely competing for survival among World Language subjects, and several variables affect the set up and maintenance of classes, including regional and school specificity, Hallyu, North Korean issues, determination of principals, efforts of local Korean and private organizations,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COVID-19 pandemic; and 3) against this background,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burdened with not only classes but also curriculum design, instructional design, and educational material development. Based on the above interview results, we propose support at the Korean government level, active participation in local universities, institu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academic socie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ides.
목차
1. 서론
2. 미국 제도권 안에서의 한국어 교육: World Language Korean
3. 연구 방법과 내용
4. 연구 결과
5. 연구 결과 분석 및 제언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드라마 자막의 반복적 시청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러시아어권 중ㆍ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World Language Korean Teacher의 시각에서 본 미국 정규학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초점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바탕으로
- 남북한 언어교육 동질성 회복을 위한 김일성종합대학교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운영 사례 분석 연구
- 중국 외국어 교육 정책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과제
- 일본어 격조사 ‘から’와 대응하는 한국어 조사(助詞) 연구 - ‘부터/에서/으로’를 중심으로
-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 ‘-(으)ㄴ/는 것이다’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중도입국·외국인가정 청소년 한국어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학술적 문식성 함양을 위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 논증 연습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을 중심으로
- 연행(燕行)현장답사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고급한국어 학습자 대상 중국 내 조선 사신의 연행 유적 현장 답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학습자의 거절 화행 전략 사용 비교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중도포기 예측 모델 개발 연구 - 재한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어순 교체에 따른 한국어 피동문 실시간 처리 연구 -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챗봇 빌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용 챗봇 설계 연구
- 외국인 대학원 신입생 대상 학문 목적 쓰기 진단평가 도입에 관한 고찰 - 해외 평가 시행 현황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 목록 선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