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가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Effects of Five Senses Play Using Picture Books and Food Art on the Playfulness and Creativity of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선영(Seon Young Moon) 김누리(Nooree Kim)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24권 제3호, 75~9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가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M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 만2세 영아 12명(실험집단)과 Y군에 위치한 S어린이집 만2세 영아 12명(통제집단)으로 총 24명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표준보육과정 생활주제에 따른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23년 1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7일까지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이루어졌고,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 프로그램 실시 여부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놀이성과 창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양적 자료분석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수행된 교사 관찰일지와 사후 인터뷰 결과 푸드아트 오감놀이가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영아들에게 친근한 소재인 식재료를주제로 구성한 ‘그림책을 활용한 푸드아트 오감놀이’가 영아의 놀이성과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ve senses play using picture books and food art on the playfulness and creativity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 two-year-old infants from S Daycare Center in M City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 Daycare Center in Y County (12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five senses play using picture books and food art, while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me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12 times over six weeks, from November 1 to December 7, 2023.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layfulness and creativity between the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ory pla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food art and those who did not.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yfulness and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support these quant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teacher observation logs and post-interview results were also analyzed, revealing specific ways in which five senses play using food art enhanced the infants' playfulness and creativity.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sever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