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디지털 기반 교육의 외재성 비판 및 시사점 탐색: 아이들의 흥미는 어디에서 오는가

이용수 63

영문명
Criticism of the externalities of digital-bas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Exploring implications: Where do children's interests come from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노진규(Jin Gyu Noh) 강현석(Hyeon Suk Kang)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24권 제3호, 93~11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현장에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기반 교육이 지니는 문제를 비판하고 듀이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한 존재론적 흥미 개념에 기반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신토피컬 리딩(syntopical reading) 방식으로 듀이의 1차 저작물 및 2차 연구를 분석하여 핵심 아이디어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들 분석 결과들을 2차적 철학적 논의를 통해 문제 해결에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현장에서 추진되는 디지털 기반 교육은 목적 외재화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디지털 자료 및 교구를 단순 호기심이나 충동을 넘어서는 교육적 흥미의 구현 매체로 활용해야 할 것이고 둘째,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내재적 흥미에 기반하여 탐구를 통한 지성적 사고 발달의 장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은 가상과 현실의 공간에서 창의적 사고에 기반한 존재론적 흥미를 활용해야 교육의 본래적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디지털 교육은 아동들의 지성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를 토대로 한 존재론적 흥미가 통합될 때,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아가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제대로 된 교육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problems of digital-based education,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Dewey's concept of ontological interest. As a research method, the core ideas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Dewey's primary works and secondary studies with a syntopical read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digital-based education promot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had a risk of external goods. As an educational implica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first, digital materials and teaching aids should be used as a medium for realizing educational interest beyond simple curiosity or impulse. Second, in the case of digital textbooks, it should be used as a place for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thinking through inquiry based on intrinsic interest. Third,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platforms, it was discussed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education can only be realized by utilizing ontological interests in virtual and real spaces. Digi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ill be established as an education that can develop the power to continue to grow when efforts and thinking are integrated based on the ontological interests of children.

목차

Ⅰ. 도 입
Ⅱ. 연구 방법
Ⅲ. 듀이와 존재론적 흥미의 개념: 교육의 목적 외재화 비판의 논거
Ⅳ. 듀이 존재론적 흥미 개념에 기반한 디지털 교육의 교육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진규(Jin Gyu Noh),강현석(Hyeon Suk Kang). (2024).초등학교 디지털 기반 교육의 외재성 비판 및 시사점 탐색: 아이들의 흥미는 어디에서 오는가. 창의력교육연구, 24 (3), 93-118

MLA

노진규(Jin Gyu Noh),강현석(Hyeon Suk Kang). "초등학교 디지털 기반 교육의 외재성 비판 및 시사점 탐색: 아이들의 흥미는 어디에서 오는가." 창의력교육연구, 24.3(2024): 93-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