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웰니스 관광자원으로서 템플스테이 구성요소 분석: 웰니스 인식에 따른 템플스테이 참가자 세분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72
- 영문명
- Analysis of Templestay Components as Wellness Tourism Resources: Focus on Segmentation of Templestay Participants Based on Wellness Perception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정헌규(Heonkyu Jeong)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0권 제2호, 209~2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템플스테이 참가자에 대한 웰니스 관점에서의 이해를 바탕으로 템플스테이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웰니스 관광자원으로서 템플스테이의 가치를 확인하고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201개의 표본데이터를 확보하였다. 표본데이터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하여 템플스테이 참가자는 웰니스 인식 정도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이어서 세분화된 템플스테이 참가자 그룹별로 템플스테이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이 진행되었으며, 분석 결과에 대한 그룹별 비교를 통하여 템플스테이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템플스테이 참가자는 웰니스 인식 정도에 따라 매우 높은 인식수준의 집단인 ‘웰니스 향유 그룹’, 높은 인식 수준의 집단인 ‘웰니스 추구 그룹’, 그리고 보통 인식 수준의 집단인 웰니스 무관심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각 그룹은 템플스테이 구성요소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그룹별 IPA를 비교한 결과 명확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에 대한 세분화와 템플스테이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템플스테이의 웰니스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템플스테이 운영시설에 대한 투자와 개선이 필요함을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Templestay from a wellness perspectiv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evaluate the value of Templestay as a wellness tourism resource and derive relevant implication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emplestay participants, yielding a sample size of 201 responses. Through cluster analysis of the sample data, Templestay participants were segmented based on their level of wellness perception. Subsequently,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emplestay components for each segmented group. By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across the groups,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Templestay components were identified.
Results: Templestay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wellness perception: the Wellness Enjoyment Group, characterized by a very high level of wellness perception; the Wellness Pursuit Group, which exhibited a high level of wellness perception; and the Wellness Indifference Group, which demonstrated an average level of wellness perception.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group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emplestay components. A comparison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cross the groups highlighted clear distinctions.
Conclusion: This study differs from prior research by confirming the value of Templestays as wellness tourism resources through participant segmentation and analysis of Templestay components.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indicating the need for investment and improvements in Templestay facil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0권 제2호 목차
- 뷰티의료관광의 기대, 지각된 가치 및 행동의도: DSC (관광목적지-자아일치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디어 빅데이터 의미연결망을 통해 본 문화도시와 관광 담론 연계: 공주 문화도시 사례
- 가상가치평가법(CVM)을 활용한 청와대(靑瓦臺) 이용가치 추정
- 해석적 사회과학관에 기반을 둔 융합 관광연구를 위한 탐색적 논의: 관련 이론의 지적 흐름을 중심으로
- 문화유산 관광품질(HISTOQUAL)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농촌 방문객, 그들은 관계인구인가 관광객인가?: 농촌 관계인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오감으로 체험하는 호텔 레스토랑의 미학적 요인이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관광 척도개발: 컨벤션산업을 중심으로
-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이 신뢰와 만족도를 통해서 관광지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중국 학술지에 게재된 웰니스관광에 대한 연구 동향
-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에서 본 지역문화자원의 관광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국립대관령치유의숲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내국인의 국외관광 인식 연구: COVID-19 전·후 비교
- 웰니스 관광자원으로서 템플스테이 구성요소 분석: 웰니스 인식에 따른 템플스테이 참가자 세분화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