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촌 방문객, 그들은 관계인구인가 관광객인가?: 농촌 관계인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re the Rural Visitors Relational Population or Tourists?: A Descrip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Relational Population
발행기관
융합관광콘텐츠학회
저자명
이채완(Chae Wan Lee) 임창수(Chang Su Lim) 박예나(Yae Na Park) 김경희(Kyung Hee Kim)
간행물 정보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0권 제2호, 41~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농촌소멸을 완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관계인구의 고유한 가치를 고찰하였다. 농촌은 다원적인 가치를 지닌 공간이지만, 인구감소로 인해 공동체 기반 약화와 지방소멸에 직면하게 된다. 농촌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정책 기조를 인구의 양적 증대에서 질적 확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관계인구의 개념이 도입된다. 새로운 인구개념이 도입된 시점에서 관계인구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농촌 관계인구의 규모를 추정하고, 활동 행태와 제도적 지원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농촌 관계인구와 농촌 관광객 간 활동 행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농촌 관계인구, 농촌 관광객, 예비 관계인구, 무관계인구 등 4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그 중 농촌 관계인구는 일회성 관광객에 비해서 지역의 사회적 관계를 활용하여 장기간 체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광객은 지역의 인적 네트워크 활용 및 지속의향이 낮다는 측면에서 피상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과반수의 국민은 농촌 무관계인구와 예비 관계인구로 나타났으며, 저변인구의 확대를 위해서 환경개선 및 도농교류 정책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도적 측면에서 관계인구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다방면에서 농촌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of ‘relational population’ as a way to counteract rural decline. Rural areas are spaces of diverse values, but due to population decline, rural areas are facing a weakening of the community base and the disappearance of localities. The concept of relational population i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shifting policy goals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population expansion. Methods: This study surveyed 3,000 adults to estimate the size of the rural relational population, examine their activity behaviour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analyse the differences in activity behaviour between rural relational population and rural tourists. Results: As a result, four groups were identified: (1) the rural relational population, (2) rural tourists, (3) potential relational population, and (4) the unrelational population. Among them, the rural relational population was found to utilise local social ties to stay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ompared to one-time tourists. On the other hand, tourists have superficial behaviour in terms of using local social networks and low intention to stay.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people are unrelational and preliminary relational population, and it seems that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urban-rural exchange policies are needed to expand popul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plored ways to expand the relational population in terms of policy and institutions, and proposed various practical tasks to revitalize rural areas in various way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채완(Chae Wan Lee),임창수(Chang Su Lim),박예나(Yae Na Park),김경희(Kyung Hee Kim). (2024).농촌 방문객, 그들은 관계인구인가 관광객인가?: 농촌 관계인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0 (2), 41-54

MLA

이채완(Chae Wan Lee),임창수(Chang Su Lim),박예나(Yae Na Park),김경희(Kyung Hee Kim). "농촌 방문객, 그들은 관계인구인가 관광객인가?: 농촌 관계인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0.2(2024): 4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