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 부양스트레스가 가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giving Stress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백용운(Yong-woon Baik) 이태숙(Tae-Soo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5 No.4, 115~1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기요양중인 노인의 가족부양자가 경험하는 부양스트레스는 가족관계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여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관계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가족부양자 33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스트레스가 가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적 스트레스와 정서적 스트레스가 가족관계 전반에 걸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쳐 가족관계 만족을 감소시키고 있었다.
둘째,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 중 부양자의 연령은 높을수록, 생활수준이 불안정 할수록, 노인 부양기간이 길수록 부양스트레스는 증가하였지만, 부양자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부양스트레스영역 전반에 걸쳐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셋째, 부양자의 대처방법 중 문제 중심 대처와 재구성 대처와 같은 적극적 대처방법들은 많이 사용 할수록 부양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주었고, 가족관계 만족은 증가 하였지만, 회피 도피와 퇴행적 대처와 같은 소극적 대처방법은 사용할수록 오히려 부양스트레스는 증가 하고 있었고, 가족관계 만족은 감소시키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부양자의 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부양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관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대처방법에 대한 상담과 교육서비스를 실시하여 부양자의 가족관계 만족을 높여주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mote practical direction for increas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o reduce stress of family provider by grasping effects of care-giving stress which the family provider of elderly in the long-termcare on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results of study based on 332 family providers dwelling in downtown, Seoul is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s of care-giving stress on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economic stress and emotional stress has most effects on the family relationship, so it decreases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ovider, in older of age, in unstable of living standards, in longer of elderly care-giving period, the care-giving stress increased, but better health condition of provider decreased the stress in the care-giving stress territory in general.
Third, the more aggressive coping strategy such as problem-focused coping and reconstituted coping strategy among the coping strategy of provider decreased care-giving stress and increased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negative coping strategy such as avoidance and escape and regressive coping strategy increased care-giving stress but decreased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is required that increasing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provider by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about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crease of provider's stress based on the causes of provider's str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과 사회적 서비스 지원
-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 및 부모 간 양육일치도가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부양스트레스가 가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재활치료 서비스 현황 및 욕구조사에 관한 연구
- 결혼이민자 가정 외국인 부모의 개인 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