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The Study on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Welfare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공계순(Gye-Soon K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5 No.4,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나이, 직무환경적 특성(보상, 업무량, 역할갈등, 전문적 발전기회),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구조를 살펴보았다. 강원도, 충청남도, 대전시에 소재한 192곳의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신율은 100%였으며, 최종분석에는 208명의 응답이 포함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나이는 이직의도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과 발전기회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하여 이직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량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둘 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보상과 이직의도, 발전기회와 이직의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대한 총 효과는 직무만족도, 전문적 발전기회, 나이, 보상, 역할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과 차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job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welfare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are worker's age, rewards, work load,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is considered as mediating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mail questionnaires sent to the front-line welfare workers, and 208 papers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orker's ag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Reward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do not 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but affect indirectly through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ork load does no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Role conflict direc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plays full mediating variables in relationship between rewards and turnover intention, and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and turnover intention.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reducing front-line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and for future studies of turnover among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통계분석
Ⅳ. 조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과 사회적 서비스 지원
-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 및 부모 간 양육일치도가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부양스트레스가 가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재활치료 서비스 현황 및 욕구조사에 관한 연구
- 결혼이민자 가정 외국인 부모의 개인 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