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 및 부모 간 양육일치도가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quality and consistency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on the emotional and social maladjustments of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신성숙(Sung-Sook Shin) 유영달(Young-Dal You)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5 No.4, 93~11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 및 부모 간 양육일치도가 아동기 자녀의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지역 3개 초등학교의 4~6학년 남녀 학생 356명이었다. 조사는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정서적 부적응 척도, 사회성 척도 등을 가지고 설문조사로 수행되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는 양육의 양호도 수준에 따라 3분할하여 양호, 보통, 불량 집단으로 나누고 양육일치도는 부모간 양육방식의 일치와 불일치 여부에 따라 일치, 불일치 집단으로 양분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교차분석, 변량분석의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피검자들의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은 부모의 양육태도의 양호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흥미롭게도 부모 간 양육태도의 일치 여부는 아동기 자녀의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와 부모 간 양육일치도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아동기 자녀의 정서적 부적응과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정서적 부적응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는 부모간 양육태도가 일치하느냐 일치하지 않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quality and father-mother consistency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on the emotional and social maladjustments of their children. The subjects were 356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3 schools in Busan. Parents'child-rearing attitudes were measured through Kim, Ki-Jeong(1984)'s scale,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good, ordinary, bad)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ir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into another two groups (consistent and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father-mother consistency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The emotional and social maladjustments of children were measured through the scales revised by Choi, A-ra(2008) and Moon, Ae-Sun(2006)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emotional and social maladjustments depended significantly on the quality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The more positively rear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emotional and social adjustment. Second, the father-mother consistency in the child-rearing attitude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emotional and social maladjustments of children. Thir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he quality and father-mother consistency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was found on the emotional and social maladjustment of children.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gards to the child and family counseling for the emotional and social difficulti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성숙(Sung-Sook Shin),유영달(Young-Dal You). (2010).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 및 부모 간 양육일치도가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 (4), 93-113

MLA

신성숙(Sung-Sook Shin),유영달(Young-Dal You).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양호도 및 부모 간 양육일치도가 정서적 부적응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4(2010): 93-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