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유와 백거이의 교유에 관한 소고
이용수 25
- 영문명
- Pilot Research over Social Interaction between HanYu and BaiJuYi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김기원(Gi-Won Kim)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7輯, 183~2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 문학사에 있어 당대(唐代), 그 중에서도 중당(中唐)이라는 시기적 위치는 특별함을 가지고 있다. 이 시기는 사인(士人) 계층의 개혁 의지가 강렬해지면서, 정치, 문화, 학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본격화된 시기이기도 하였다. 특히 과거(科擧)를 통해 선발된 문인 계층이 신흥세력으로 부상하면서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한 것도 바로 이 시기이다. 중당(中唐)을 대표하는 문인 중 문체 개혁운동의 정점에 서 있던 인물이라고 한다면 한유와 백거이를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다. 양인(兩人)은 각각 문체 개혁운동에도 힘쓰면서도, 문인 집단을 이끌어간 영수(領袖)의 위치에 서 있었던 인물이었다. 하지만, 문인 집단 내에서는 교유가 활발했던 두 문인이었지만, 오히려 두 문인 간에는 교유의 흔적을 찾아보기 쉽지 않다. 본고에서는 한유와 백거이 양인(兩人) 간 교유시(交遊詩)에 대해 소개한 뒤, 어떠한 상황 하에서 어떠한 내용으로 교유시를 증답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작품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외에도 양인(兩人)의 교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당(中唐) 시기의 환경적 특징에는 어떠한 요소들이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eriod of ZhenYuan(貞元) and YuanHe(元和) of the Tang(唐) Dynast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will to reform of the scholarly-elite class(士人) gradually became stronger and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culture, and academics began to take place in earnest. The saga class, selected through ‘KeJu(科擧);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 soon rose as the emerging force of the time, and they gradually began to form the main axis of the unique culture of the Tang Dynasty. Several characters come to mind when it comes to writers representing the Middle-Tang(中唐) who were at the peak of the literary-style reform movement, but among them, HanYu(韓愈) and BaiJuYi(白居易) can be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icon. Each of the leaders strived to reform their literary style, but they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changing activities [交遊]’ who led the literary group, which is the center of literary creation and literary. Although they are two active people within the group, it is difficult to find any traces of friendship between HanYu(韓愈) and BaiJuYi(白居易). This resarch essay examines the content and background of the seven poems concerning the exchanging acitivies that the two people can be classified as evidence of their friendship, and briefly examines the circumstances and contents of the exchange between the two characters, and briefly examines what elements of the Middle-Tang(中唐) period that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haracters can be defined.
목차
1. 들어가며
2. 기존 연구 현황 정리
3. 양인(兩人)의 교유시 소개 및 분석
4.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第87輯 목차
- 漢代 자전류의 頭衣 관련 어휘 연구
- 특수 목적 관광 중국어의 어휘리스트 코퍼스 구축
- 중국어 어휘의 수용적 지식과 생산적 지식 비교 연구
- 의미에 기반한 현대중국어 부사 ‘也’의 품사성 고찰
- 从『太阳下山了』看舒巷城的乡土意识
- 위진남북조 시기 유교 철학의 쇠퇴와 시가 문학 발전 양상
- 人工智能学科系统在高中阶段中的分析与应用
- 浅析汉语隐喻性流行词的认知特征
- 입문자를 위한 신HSK 2급 획득 전략과 대비교재 탐색에 관한 연구
- 현대 중국어 생성 및 도출의 언어 단위
- 당인 가행시의 특징
- 현대 중국어 ‘刚才+V+了’ 구문 연구
- 基于电商直播的中国消费者满意度量表开发
- 教育关联领域中的ChatGPT关联研究之动态分析
- 한유와 백거이의 교유에 관한 소고
- 한·중 양국의 부품·소재·장비 산업 경쟁력과 수출변동요인 분석
- 중국 빅데이터 고객차별에 대한 법률 규제 한계에 관한 연구
- 现代韩国王维研究动态分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