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漢代 자전류의 頭衣 관련 어휘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Study on Vocabulary Related to Headwear in Han Dynasty Lexicon : So, Hanbok is not Hanfu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나도원(Do-Won Na)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7輯, 155~1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고대 자전류를 중심으로 두의에 관련된 어휘를 정리하여 고대 중국의 두의가 어떤 형태였고, 이것이 한국의 고대 두의와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복식문화는 그 사회의 문화 지표이자 시대적 역사성과 공동체의 의식을 계승한 현실과 가장 근접한 문화적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는 결코 한 방향으로만 흐르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의복이 중국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겠지만, 일방적인 중국 복식문화의 수입에만 의존하였다고 생각할 수도 없다. 중국의 두의는 冠·冕과 巾에서 발전한 幘이 있고, 冠과 幘이 합쳐진 형태의 巾幘이 있다. 고대 유가 의례에 관한 문헌에 자주 보이는 弁은 자형의 혼용, 弁 형태에 대한 설명의 상충 등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이를 자형과 고문헌 자료의 편찬 시기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고깔형 弁과의 융합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ocabulary related to headwear (頭衣) centered around ancient records and to explore the form of headwear in ancient China and its differences from those in ancient Korea.
In Korean ancient headwear(頭衣), “折風” is described in Chinese literature as ‘similar to “弁”’, ‘like a “幘” but without “後(收)”’, and ‘“冠” with bird feathers inserted’. None of these descriptions perfectly match those in China. It is speculated that when recording at the time, there was uncertainty in describing a style different from that of officials in China, so similar characters were used. Therefore, there is no doubt that ancient Korean attire differed from that of China.
I argue that simply interpreting 弁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 as 弁 is not appropriate.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it appears in texts such as 『詩經』, 『尚書』 and 『周禮』, it does not appear in texts such as 『急就篇』』 and 『爾雅』. Second, the 『說文』 considers 弁 as the predecessor of 冕. Third, there is a debate about the phonetic composition of 弁. Fourth, most of the works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were recompiled during the Han dynasty in clerical script. Fifth, there are conflicting records about the form of 弁. Therefore, I want to propose the possibility that 弁 evolved from a fusion of cultures from the nomadic peoples(胡) and Eastern Yi(東夷), resulting in the appearance of triangular(“goggal”) leather headwear during the late Han dynasty or the period of the Sixteen Kingdoms, which then mixed with items like the 通天冠 during the Han dynasty and transitioned into elaborate headwear.
목차
1. 서론
2. 漢代 자전류에 나타난 頭衣 어휘
3. 고대 한국 頭衣와 비교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第87輯 목차
- 漢代 자전류의 頭衣 관련 어휘 연구
- 특수 목적 관광 중국어의 어휘리스트 코퍼스 구축
- 중국어 어휘의 수용적 지식과 생산적 지식 비교 연구
- 의미에 기반한 현대중국어 부사 ‘也’의 품사성 고찰
- 从『太阳下山了』看舒巷城的乡土意识
- 위진남북조 시기 유교 철학의 쇠퇴와 시가 문학 발전 양상
- 人工智能学科系统在高中阶段中的分析与应用
- 浅析汉语隐喻性流行词的认知特征
- 입문자를 위한 신HSK 2급 획득 전략과 대비교재 탐색에 관한 연구
- 현대 중국어 생성 및 도출의 언어 단위
- 당인 가행시의 특징
- 현대 중국어 ‘刚才+V+了’ 구문 연구
- 基于电商直播的中国消费者满意度量表开发
- 教育关联领域中的ChatGPT关联研究之动态分析
- 한유와 백거이의 교유에 관한 소고
- 한·중 양국의 부품·소재·장비 산업 경쟁력과 수출변동요인 분석
- 중국 빅데이터 고객차별에 대한 법률 규제 한계에 관한 연구
- 现代韩国王维研究动态分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