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향가의 ‘嗟辭’·’詞腦’ 검토

이용수 0

영문명
Review of ‘Chasa(嗟辭)’ and ‘Sanoe(詞腦)’ in Hyangga(鄕歌)
발행기관
운곡학회
저자명
권영호(Young-ho Kwon)
간행물 정보
『운곡논총』제10집, 203~22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25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향가 연구에서 嗟辭와 詞腦문제는 아직 쟁점으로 남아있다. 이 연구에서는 차사와 사뇌에 대한 기록을 역사적·문화적 맥락에서 분석하고 노랫말과 연계해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삼국유사』 「기이」와 『균여전』에 나오는 詞腦는 노래의 기능이나 효용과는 구별해 노래의 문학적·언어적 성격에 대해 이루어진 서술이고, 다른 노래를 염두에 둔 상대적 표현이다. 사뇌의 詞는 노랫말에 가까운 뜻이고 노랫말에 사용된 단어나 어구를 가리키기도 한다. 노랫말이나 어구가 정밀한 뜻을 드러내고 표현이 아름답다는 정도로 의미를 풀 수 있으므로, 사뇌가는 잘 다듬어지고 정제된 노래로 이해할 수 있다. 몇몇 향가의 명칭에 ‘~사뇌가’가 사용되고 있는 점은 사뇌의 의미가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사뇌는 향가가 율격 또는 구조적으로 정형성을 갖추어 갈 즈음에 評語로 정착되어 창작과 전승에 영향을 끼쳤다. 향가에 지적 수준과 문학적 능력이 큰 개인 창작자의 등장으로 사뇌의 정도가 더욱 커지면서 내용과 표현의 고도화가 일어났다. 유리왕대의 도솔가는 편찬자 김부식의 유교적 시각에 의해 악장의 개념으로 설명되었다. 차사는 찬미를 통한 영탄적 요소로서 형식적인 면에서 고유의 노래에서 유래했음을 언급하고, 사뇌는 내용적인 면에서 이전 노래와는 다른 변화를 언급한 것이다. 차사와 사뇌는 병립하여 존재했는데, 노랫말에 차사가 존재함으로써 시상이 감탄에 이르기까지 발전하고 전후의 언어적 질서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감탄어구의 존재는 노랫말에 담긴 뜻이 더 정밀하게 되고 표현이 더 다듬어지는 변화를 가져왔을 것이다. 부대기록이나 배경설화에 나타나는 향가의 주술성이나 신이성은 노래에 나타나는 뜻과 표현이 초월적 효용을 갖는다는 당시의 시각을 보여준다. 이러한 異蹟은 대부분 초경험적인 것이고 그 내용이 노랫말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또 노래가 나타난 시기는 대부분 8세기 이후, 형식은 대부분 10구체, 작가층은 대부분 상층 혹은 승려이다. 이로 볼 때, 주술성을 갖는 대부분의 향가는 신라 융성기에 지적 수준이 높거나 창작능력을 가진 신분의 인물이 절실한 마음을 담아 정제된 긴 형식으로 부른 노래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hasa(嗟辭) and Sanoe(詞腦) remains an issue in A Study on the Hyangga. I analyzed the history and cultural context of the Chasa and Sanoe and looked at the meaning in conjunction with the lyrics of Hyangga(鄕歌). The Sanoe described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and 『Kyunyeojeon(均如傳)』 is a description of the literary and linguistic nature of the song, distinguishing it from the function and utility of the song, and is a relative expression of other songs. The ‘Sa(詞)’ of Sanoe(詞腦) means more like a song and also refers to a word or phrase used in the song. The Sanoe can be understood as a well-organized and refined song, as the Sanoega(詞腦歌)lyrics and can be understood as a well-polished and refined song. The use of ‘~sanoega(詞腦歌)’ in the names of some Hyanggas indicates that the meaning of ‘Sanoe’ is being applied consistently. By the time Hyangga had become rhythmic or structurally orthodox, Sanoe was established as a critical language and influenced creation and transmission. With the appearance of individual creators with high intellectual and literary abilities in Hyangga, as the level of Sanoe increased, the content and expression advanced. The Dosolga(兜率歌) in the Yuriwang(儒理王) period was explained by the Confucian view of the editor Kim Bu-sik(金富軾) as a concept of Akjang(樂章). Chasa(嗟辭) is a spiritual element through praise and refers to the origin of its own song in a formal way and Sanoe(詞腦) refers to a different change from the previous song in terms of content. The Chasa(嗟辭) and Sanoe(詞腦) existed side by side, with the presence of a cha-sa in the song’s lyrics developing the award to exclamation and influencing the postwar linguistic order. The existence of these exclamatory phrases would have led to a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words more precise and the expressions more refined. The shamanistic nature or divine nature of the incense that appears in auxiliary records or background stories shows the view of the time that the meaning and expression of the song have transcendental utilities. The enigmatic phenomenon is mostly super-experiential and the cont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lyrics. In addition, most of the songs have appeared since the 8th century, most of them in the form of 10 verses, and most of the writers are upper-class or monk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Hyanggas with shamanistic nature were sung in a refined, long form during the flourishing period of Silla, with a high intellectual level or a person of a status with creative ability to create.

목차

Ⅰ. 서론
Ⅱ. 사뇌의 개념
Ⅲ. 도솔가를 통해 본 차사와 사뇌의 성격
Ⅳ. 향가의 주술성과 사뇌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영호(Young-ho Kwon). (2021).향가의 ‘嗟辭’·’詞腦’ 검토. 운곡논총, (), 203-228

MLA

권영호(Young-ho Kwon). "향가의 ‘嗟辭’·’詞腦’ 검토." 운곡논총, (2021): 203-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