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도로 살펴본 원주 도로망 변화

이용수 5

영문명
Changes in the Wonju Road Network Identified through Maps: From the 1870s to the 1950s
발행기관
운곡학회
저자명
조석곤(Seok-gon Cho)
간행물 정보
『운곡논총』제10집, 139~17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25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1870년대에서 1950년대 후반에 이르는 원주 도로망의 변천과 그것의 역사적 의미를 조선 후기 고지도, 1918년 지형도, 1950년대 후반 지형도을 이용하여 살펴본다. 조선시대 원주 역로망은 원주감영으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12개의 도로와 내부를 연결하는 3개의 지선으로 구성되었다. 17세기 이후 문막으로 가는 주도로는 북쪽으로 이동하였으며, 문막상권이 확장하였다. 1918년도 도로망은 조선 후기 역로를 모두 포괄하고 있었다. 주요 역로는 아니지만, 무실동에서 문막 비두리에 이르는 길과 호저면 만종리에서 무장리에 이르는 길은 서너 개의 주막이 있을 정도로 왕래가 빈번한 도로였고, 지형도에도 連路로 표시되었다. 다만 섬강을 따라갔던 횡성행 도로나 부론면을 경유했던 충주행 도로는 각각 소초면을 경유하는 길과 귀래면을 거치는 길로 분산 또는 대체되기에 이르렀다. 1918년 도로망에 1950년대 후반의 마을들을 배치해 본 결과, 일부 마을들은 해당 도로망에 포함되지 않았다. 원주시의 치악산 인근 마을, 신림면·호저면·지정면의 일부 마을들은 일제 이후 인구증가 및 경제성장 과정에서 새로 만들어진 마을들이었다. 1870~1960년 사이 원주 도로망의 변화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흥원창의 쇠퇴로 상품 유통에서 문막지역의 중요성이 커졌다. 둘째, 섬강을 이용하는 교통로보다 횡성-원주-충주를 잇는 육상 교통로의 비중이 커졌다. 셋째, 이러한 큰 변화 속에서도 조선 후기 핵심 역로는 1960년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그 기능을 유지하였는데, 정치적 격변 속에서도 어떤 분야의 역사적 시간은 완만하면서도 장중하게 흘러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nju road network from the 1870s to the late 1950s, using old map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pographic maps in 1918, and topographic maps in the late 1950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Wonju road network consisted of 12 roads going out from Wonju Gamyeong and 3 branch lines connecting the inside. After the 17th century, the main road to Munmak moved to the north, and the Munmak commercial area expanded. The road network in 1918 covered all the old rout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it were not main routes, the road from Musil-dong to Munmak Bidu-ri and the road from Manjong-ri to Mujang-ri were frequent enough to have three or four inns, and they were marked as a connecting road on the topographic map. However, the road to Hoengseong, which followed the Seomgang River, and the road to Chungju, which passed through Buron-myeon, were dispersed or replaced with a road passing through Socho-myeon and a road passing through Gwirae-myeon, respectively. As a result of placing villages from the late 1950s on the road network in 1918, some villages were not included in the road network. The villages near Chiaksan in Wonju, and some villages in Sillim-myeon, Hojeo-myeon, and Jijeong-myeon were newly created in the process of population increase and economic growth aft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changes in the Wonju road network between 1870 and 1960 have the following historical implications. First, with the decline of Heungwonchang, the commercial importance of the Munmak area increased. Second, the proportion of transportation routes connecting Hoengseong-Wonju-Chungju has increased compared to transportation routes using the Seomgang River. Third, even in the midst of such great changes, the traditional rout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till maintained its function even in 1960,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historical time in certain fields has flowed slowly and solemnly even in the midst of political upheaval.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왕조와 일제 강점기의 도로정책 개관
Ⅲ. 시기별 원주의 도로망 변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석곤(Seok-gon Cho). (2021).지도로 살펴본 원주 도로망 변화. 운곡논총, (), 139-177

MLA

조석곤(Seok-gon Cho). "지도로 살펴본 원주 도로망 변화." 운곡논총, (2021): 139-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