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주의 지명유래에 관한 일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lace-Name of ‘Chiaksan(雉岳山)’ and ‘Seomgang(蟾江)’
발행기관
운곡학회
저자명
김은철(Eun-cheol Kim)
간행물 정보
『운곡논총』제10집,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25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 필자는 원주의 대표적인 지명인 치악산과 섬강에 대해서 그 유래를 살폈다. 치악산이란 이름은 상원사 꿩 전설보다 700여년 이상 앞선 시대에 이미 쓰여서 꿩전설과는 상관이 없으므로 김부식이 치악산 이름을 쓰게 된 배경 및 원래 이름을 추정하였다. 치악산의 원래 고유한 이름을 ‘달 > 박달’로 추정하였는데, 이는 치악산의 다른 이름 赤岳山이 ‘’ 계 열의 고유지명이기 때문이다. 그 뜻은 ‘박’(明·白·赤), ‘달’(山·高)로서, ‘높고 밝은, 신성한 산’의 의미이다. ‘박달’을 한자로 적은 것이 ‘赤岳山’이며, 그 잔존형태가 현재 ‘백달리’, ‘백교’, ‘배무덤’ 등으로 남아 있다. 치악산의 雉岳城과 황해도 백주의 雉嶽城·雉嶽山으로 보아 雉는 山城의 의미로서 거기에는 이미 ‘高·山·城’의 뜻이 들어 있으므로 치악은 ‘높은 산성이 있는 산’이란 뜻이다. 박달에서 ‘박’과 ‘달’은 어느 한 자로도 박달의 뜻을 다 포함하고 있다. ‘밝(明)>백>배’의 ‘배너미’나 ‘배재’는 달(山·高)을 포함하고 있고 ‘달(高)’을 뜻하는 ‘도랍현’이 ‘白州’가 된 것은 ‘달’에 ‘明’의 뜻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랍(달)이 白州가 된 것은 ‘박(明·赤·白)=달=박달’에 의해서 가능하였다. 한편 ‘달’과 ‘닭(달~닥)’은 ‘鷄林’과 ‘月城’처럼 동음이의어로서 서로 혼용되어 쓰였고 닭과 꿩은 서로 유사하였으므로 ‘달=닭=꿩’의 등식에 의해 ‘도랍(달)=(닭)=雊澤=雉’가 가능하였고, ‘赤岳=박달=달=닭=꿩=雉’도 가능하였다. 따라서 城과 雉, 박과 달, 달과 닭과 꿩은 [城->雉] [달(=박)->白·赤] [달(山·高)->닭(鷄)->꿩(雉)] [城(=高=달)->鷄(닭)->雉] 등의 유기적인 관계가 성립된다. 달(박달)이 雉가 되는 것은 의미상으로는 ‘달(박달)=高·山·城=雉’로서 이 때 치는 산성의 의미이고 소리를 따라서 달=닭(鷄), 동일성에 의해서 닭=雉가 가능하였다. 달(高·山)을 표현한 雉가 중의성으로 인해 때로는 山城으로, 때로는 꿩으로 인식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지명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 원주 雉岳山의 경우 박달(적악산)이란 지명이 먼저 생긴 후 치악성이 생겼는데 이때 치는 산성의 뜻이었고, 이것이 의미 확장이 되어 그 산을 치악산이라고 하였을 것이다. 박달(적악산)과 치악산은 공존하다가 치악산이라는 이름이 생기면서 박달(적악산)은 세력이 약화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상원사 꿩 전설이 결합하면서 치악산으로 정착되어 오늘날은 雉를 꿩으로만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섬강의 어원은 토정 이지함과 관련되어 그 유래가 전해져 왔으나 蟾이란 이름은 통일신라, 또는 그 이전에 이미 있었다. 후삼국시대의 양길이 이 강을 ‘月川’이라고 불렀다는데서 이 강의 이름이 ‘달내’였음을 알 수 있는데, 고어 ‘달(高·山)’ 계통의 지명은 지금도 현지에 많이 잔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강의 원래 이름은 ‘달내’였고 이것의 한자 기록이 ‘月川’이며 ‘月’을 하늘의 달로 보아 ‘蟾江’이 된 것이다. ‘月·蟾’은 각각 ‘달(高·山)’을 달리 표기한 것들이므로 ‘月川·蟾水·蟾江’은 모두 ‘달내’의 뜻을 적은 것이고 ‘月瀨·月瀨灘’의 ‘瀨’는 ‘달내>달래’의 ‘래’의 소리와 ‘여울’이라는 뜻을 동시에 적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 강의 이름인 ‘월천(月川)·섬강(蟾江)·섬수(蟾水)·월뢰(月瀨)·월뢰탄(月瀨灘)’ 등은 원래 이름인 ‘달내>달래’를 각가 달리 적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이름들 중에서 蟾江으로 이름이 정착되고 蟾을 두꺼비로 해석하여 오늘에 이른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writer considered the place-name ‘Chiaksan(雉岳山)’ and ‘Seomgang(蟾江)’. The writer estimated the background and the origin of the place-name ‘Chiaksan’, because the place-name was used 700 years ago before the pheasant legend of ‘Sangwonsa(상원사)’ temple. The writer estimated the origin of this place-name, ‘balkdal(달>박달)’. Because Jeokaksan(赤岳山) -the other name of this mountain- is the genealogy of balk() which is one of the Korean native name. As balk(>박) means ‘bright·white·red(明·白·赤)’, and dal(달) means ‘mountain·high(山·高)’, the meaning of balkdal(달>박달) is ‘high, bright, holy mountain’. The Chinese character of balkdal is Jeokaksan, and the place-name ‘Baekdalri(백달리)’, ‘Baekgyo(백교)’, ‘Baemudeom(배무덤)’ are the survival names of balkdal. By the consideration of the Chiakseong(雉岳城) in WonJu Chiaksan, the Chiakseong and the Chiaksan in Baek-ju(백주), the meaning of chi(雉) is a mountain fortress wall(山城). So chiak(雉岳) means ‘a mountain which has a high fortress wall’. balk(박) and dal(달) covers the meaning of balkdal(박달) each other. As dal contains the meaning of bright(明), so Dorap-hyun(도랍현) which means dal (高) was possible to become Baek-ju. That is, By the equality of balk(明·赤·白)=dal(달)=balkdal(박달), Dorap(도랍,달) was possible Baek-ju. Meanwhile, By the equality of ‘dal(달)=dalk(닭)=pheasant(꿩)’, the connection of ‘Dorap(달)=dalk(닭)=Gutaek(雊澤)=chi(雉)’, and the connection of ‘Jeokak(赤岳)=balkdal(박달)=dal(달)=dalk(닭)=pheasant(꿩)=chi(雉)’ were possible. So there is an organic relationship in the fortress wall(城) & chi(雉), balk(박) & dal(달), dal(달) & dalk(닭) & pheasant(꿩). As chi which expressed dal(高·山) has plural meanings -fortress wall or pheasant-, the place-names appeared various and complex shapes. The etymology of Seomgang(蟾江) is widely known related to ‘Lee, Ji-ham(이지함)’. But the place-name ‘seom(蟾)’ was used in the Unified Silla or in the times before. Gungye(궁예) in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called this river Wolcheon(月川). The native sound of wolcheon is ‘Dalnae(달내)’. dal(달) is the ancient vocabulary which means high & mountain, nae(내) means creeks & river. This ancient vocabulary remains in the local field aplenty. So the origin place-name of this river was Dalnae(달내), and the chinese character was Wolcheon(月川). They understood this dal(달) to the moon(月), and translated seom(蟾) which means a toad. They believed the toad(蟾) is living in the moon(月), so they equated the moon with the toad. As a result, the native place-name of this river was Dalnae(달내), the names Wolcheon(月川) & Seomgang(蟾江) & Wolroetan(月瀨灘) are different names which recorded the sound or meaning of Dalnae(달내) at times.

목차

Ⅰ. 서론
Ⅱ. 치악산(雉岳山)의 경우
Ⅲ. 섬강(蟾江)의 경우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철(Eun-cheol Kim). (2021).원주의 지명유래에 관한 일 고찰. 운곡논총, (), 1-33

MLA

김은철(Eun-cheol Kim). "원주의 지명유래에 관한 일 고찰." 운곡논총, (2021):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