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석경 『숲속의 방』에 나타난 소통의 수행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71

영문명
A Study on the Performativity of Communication in Kang Seuk-kyong’s Room in the Forest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장동숙(Dong-Sook Jang)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6집, 295~32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석경은 1974년 제1회 『문학사상』 신인상을 받았고, 「숲속의 방」으로 제6회 <녹원 문학상>, 1986년 제10회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하면서 평단에서도 대중적으로도 큰 공감을 일으킨 작가이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이 지니는 80년대 청춘의 수행 서사에 초점을 맞춰 다른 세대 감각을 지닌 ‘나’ 미양을 중심으로 대학생 소양의 아픔을 이해하고, 소양 세대의 소통 양상을 살펴보았다. 서사를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나’의 역할은 소양의 세계를 들여다보는 관찰자, 소양의 방황과 좌절을 따라가는 목격자이자 추적자, 소양이 쓴 일기의 독자 등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소설에서 소양의 일기장이 중요한 이유는 소양의 발화를 통해 날 것 그대로의 목소리를 담고 있기 때문이고, 이 소설의 비극성을 향한 외피이기 때문이다. 일기를 몰래 훔쳐보는 ‘나’의 행위는 소양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녀를 살리려는 노력으로 합리화되지만, 결과적으로 소양이 자살을 택함으로써 그 일기는 소통의 계기가 되지 못하고 유서로서 남게 된다. 결국 나의 분투는 소양의 죽음으로 일단락되는데, 이때 동생의 파국은 새로운 ‘나’, 즉 동생과 동일시되어 나의 ‘미학적 죽음’으로 확장하려는 정동을 취하게 한다. 이렇게 소양의 파국은 죽음을 통해 오히려 부조리한 사회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선택이기에 비극이다. 한편 나의 분투는 비록 비극으로 결과를 마주하나 서사의 초반부터 결말까지 끊임없이 소통하고, 해결하려는 모습에서 앞 세대의 적극적 수행을 대변한다. 아울러 이러한 적극적 수행은 비단 동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시 젊은 세대를 이해하기 위한 ‘대리자’ 역할로 확장된다. 이 소설은 80년대 ‘한국 사회’ 및 청춘의 현실에 대해 반응하는 형상화에 나타난 변화의 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1980년대 젊은 청춘들의 고통과 절망을 표현한 강석경의 『숲속의 방』은 80년대 문학이 형상화한 절망의 서사를 비극으로 재현하면서 ‘나’의 적극적인 수행으로 소양 세대를 봉합하려는 의지를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영문 초록

Kang Seok-kyung received the first Literature Prize for New Artist in 1974 and the 6th Nokwon Literature Award for “Room in the Forest” and the 10th Writer of the Day Award in 1986. Focusing on the performance narrative of youth in the 80s, this paper understood the pain of literacy and examined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literacy generation, especially the beauty with a different generational sense. It also revealed that my role in leading the narrative is to perform variously, including observers looking into the world of Soyang, witnesses and trackers following Soyang’s wandering and frustration, and readers of Soyang’s diary. The reason why Soyang’s diary is important in this novel is that it contains a raw voice through Soyang’s speech, and it is the outer shell of this novel toward the tragedy. The act of sneaking a peek at the diary is rationalized as an effort to solve Soyang’s “problem” and save her, but as a result, Soyang chooses to commit suicide, the diary does not become an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and remains as a will. In the end, my struggle ends with the death of Soyang. At this time, the younger brother’s catastrophe is identified with a new ‘me’, that is, a younger brother, and takes an affect to expand into my ‘aesthetic death’. This catastrophe of Soyang is a tragedy because it is a choice to reveal an absurd society through death. On the other hand, my struggle represents the active performance of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aspect of constantly communicating and trying to solve the result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narrative, even though it faces the result of tragedy. In addition, this active practice is not limited to the younger brother, but is included and expanded as a ‘agent’ to understand the younger generation at the time. This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the change that appeared in the figureization of the performance narrative of the 1980s responding to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youth. Therefore, Kang Seok-kyung’s “Room in the Forest,” which expresses the pain and despair of young youth in the 1980s, is a work that shows the willingness to seal the generation of Soyang through the active practice of “I” while recreating the narrative of despair embodied in literature in the 1980s as tragedy.

목차

1. 서론
2. 쫓는 자, 근원적 행위자와의 거리
3. 소통 불가능성에 맞서는 분투의 기록
4. 좌절된 소통의 서사와 남겨진 화자(독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동숙(Dong-Sook Jang). (2024).강석경 『숲속의 방』에 나타난 소통의 수행성에 대한 연구. 구보학보, (), 295-328

MLA

장동숙(Dong-Sook Jang). "강석경 『숲속의 방』에 나타난 소통의 수행성에 대한 연구." 구보학보, (2024): 295-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