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지 마르크스주의 역사철학과 인간학
이용수 57
- 영문명
- Colonial Marxism’s Philosophy of History and Anthropology: Discussion of Shin Nam-chol and Park Chi-woo in the 1930s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최은혜(Eun-hye Choi)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36집, 157~19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경성제국대학의 철학과 출신으로 ‘서양철학 수용의 1세대’라고 불리는 신남철과 박치우의 1930년대 논의들을 겹쳐 읽으며 이들이 마르크스주의 역사철학을 식민지적 상황에 따라 자기화한 양상을 살폈다. 사상운동의 활로가 막혔던 1930년대 이들이 선택한 길은 일종의 ‘이론적 실천’이었으며, 동시에 행할 수 없을지언정 행함을 지향해야 했던 ‘실천적 이론’의 정초와도 닿아 있었다.
2장에서는 이들이 1930년대를 위기로 인식하고 하이데거를 위시한 실존주의의 인간관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역사철학을 정초해 나갔다는 점을 확인하고, 그 구체적인 특징을 살폈다. 이들에게 실존주의 비판은 ‘비역사적’ 인간을 설정함으로써 역사 발전을 거부한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3장에서는 마르크스주의 역사철학의 보편성을 따르면서도 그것에 어떻게 조선이라는 특수를 기입하고자 했는지 고민한 흔적을 찾고, 그에 기반해 진행된 민족주의적 ‘조선학’ 비판과 과학적 조선학 진흥이 일본 식민주의 비판을 우회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알리바이가 되었다는 점을 검토했다. 4장에서는 몸이 실천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파토스가 강조되었던 이들의 철학을 ‘신명(身命)의 유물론’이라고 명명하는 한편으로, 동양적 예지가 강조되었던 맥락을 짚으면서 이들이 지행합일(知行合一)이라는 양명학적 가치를 어떻게 마르크스주의 역사철학 속에 녹여냈는지를 살폈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중심부 마르크스주의와 변별되는 ‘식민지 마르크스주의 역사철학’의 특징을 논의하는 데 가닿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ads over the discussion of Shin Nam-chol and Park Chi-woo in the 1930s,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and are called the first generation who accepted Western philosophy, and examines how they internalized the Marxist philosophy of history according to the colonial situation. The path they chose in the 1930s, when that of ideological movement was blocked, was a kind of theoretical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came contact with a cornerstone of practical theory, which had to aim for action even if it could not be done. In Chapter 2, it was confirmed that they laid a foundation for their philosophy of history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1930s as a crisis and criticizing the human view of existentialism, including that of Heidegger, and examined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For them, criticism of existentialism was focused on rejecting historical development by establishing non-historical humans. Chapter 3 found a trace of concern about how to enter the special nature of Joseon in the universality of the Marxist philosophy of history while following it and reviewed the fact that the nationalist criticism of Joseon studies and promotion of scientific Joseon studies based on the trace became an alibi that could indirectly give criticism of the Japanese colonialism. Chapter 4 named their philosophy, where pathos was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body to practice, as materialism of the body and examined how they melted the Yangming value of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to the Marxist philosophy of history while understanding context where oriental courtesy and wisdom were emphasized. Ultimately, this article seek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ilosophy of history of the colonial Marxism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central Marxism.
목차
1. 사회주의의 학술적 전유와 그 조선적 판본
2. 역사철학의 정초: 위기 인식과 실존주의 비판
3. 식민주의의 우회적 비판, ‘조선학’이라는 알리바이
4. 신명(身命)의 유물론, 그 기반으로서의 파토스와 예지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