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 반감기 핵종을 이용한 PET 검사 시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정량성 평가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valuati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Image Scan Duration in PET Scan using Short Half-Lived Radionuclide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홍건철(Gun Chul Hong) 차은선(Eun Sun Cha) 곽인석(In Suk Kwak) 이혁(Hyuk Lee) 박훈(Hoon Park) 최춘기(Choon Ki Choi) 석재동(Jae Dong Seok)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6 No.1, 102~10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Because of the rapid physical decay of the short half-lived radionuclide, counting of event for image is very limited. In this reason, long scan duration is applied for more accurate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relatively low sensitive exam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can duration and investigate the resonable scan duration using the radionuclide of 11C and 18F in PET scan. Materials and Methods : 1994-NEMA Phantom was filled with 11C of 30.08±4.22 M㏃ and 18F of 40.08±8.29 M㏃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Dynamic images were acquired 20frames/1minute and static image was acquired for 20minutes with 11C. And dynamic images were acquired 20frames/2.5minutes and static image was acquired for 50minutes with 18F. All of data were applied with same reconstruction method and time decay correction. Region of interest (ROI) was set on the image, maximum radioactivity concentration (maxRC, k㏃ /mL) was compared. We compared maxRC with acquired dynamic image which was summed one bye one to increase the total scan duration. Results : maxRC over time of 11C was 3.85±0.45 ~ 5.15±0.50 k㏃/mL in dynamic image, and static image was 2.15±0.26 k㏃/mL. In case of 18F, the maxRC was 9.09±0.42 ~ 9.48±0.31 k㏃/mL in dynamic image and 7.24±0.14 k㏃/mL in static. In summed image of 11C, as total scan duration was increased to 5, 10, 15, 20minutes, the maxRC were 2.47±0.4, 2.22±0.37, 2.08±0.42, 1.95±0.55 k㏃/mL respectively. In case of 18F, the total scan duration was increased to 12.5, 25, 37.5, and 50minutes, the maxRC were 7.89±0.27, 7.61±0.23, 7.36±0.21, 7.31±0.23 k㏃/mL.Conclusion : As elapsed time was increased after completion of injection, the maxRC was increased by 33% and 4% in dynamic study of 11C and 18F respectively. Also the total scan duration was increased, the maxRC was reduced by 50% and 20% in summed image of 11C and 18F respectively. The percentage difference of each result is more larger in study using relatively shorter half-lived radionuclide. It appears that the accuracy of decay correction declined not only increment of scan duration but also increment of elapsed time from a starting point of acquisition. In study using 18F, there was no big difference so it's not necessary to consider error of quantit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elapsed time. It's recommended to apply additional decay correction method considering decay correction the error concerning elapsed time or to set the scan duration of static image less than 5minutes corresponding 25% of half life in study using shorter half-lived radionuclide as 11C.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신증을 진단 받은 소아 환자의 DMSA 신장 검사에서 정확한 관심영역 설정에 대한 고찰
- 단 반감기 핵종을 이용한 PET 검사 시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정량성 평가
- 핵의학 검체검사 정도관리의 개선을 위한 Westgard Multi-Rules의 적용
- Tl-201을 이용한 심근관류 SPECT에서 Body contour와 Circular mode의 영상 획득 차이에 따른 영상의 질 비교
- 자동합성장치에 따른 ¹⁸F-FDG의 방사선분해 평가
- ⁹⁹ᵐTc-HMPAO 뇌혈류 SPECT 검사 시 환자에 따른 뇌조직 추출률에 대한 고찰
- 핵의학과 전용화장실에서 측정된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에 대한 연구
- 전신 PET/CT 검사에서 환자의 팔 위치에 따른 CT 유효선량의 비교 연구
- 치밀형 유방에서 유방특이감마영상검사의 유용성 평가
- List Mode에서 PET/CT Scanner의 직선성 평가
-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연구
- Myocardial SPECT시 COR에서 위치변화에 따른 Image Uniformity 비교
-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에서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심박출계수의 변화 연구
-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에서 좌전사위상 각도의 변화에 따른 정량적 지표 비교
- PET/CT 검사에서 SharpIR 재구성 방법의 평가
- Article TOF 기법을 이용한 PET/CT 검사에서 적정 스캔 시간에 대한 정량적 평가
- 핵의학과 환경미화원의 일시 출입자 분류에 대한 고찰
- ⁹⁹ᵐTc 표지화합물을 사용한 심근 관류 SPECT 검사에서 심장과 타 장기와의 중첩 방지를 위한 자세 변화의 유용성
- 동적 신장 신티그래피 검사 시 사용되는 Gates 법과 Modified Gates 법의 사구체 여과율 비교에 관한 고찰
- BIO-RAD 정도관리 물질을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의 Acceptable Range 설정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