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 연구 동향과 과제
이용수 52
- 영문명
-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2009-2023)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경(Kim, Jin Kyung) 남연정(Nam, Youn Jung) 이은경(Lee, Eun Ky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2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 대상 연구가 학술지에 게재되기 시작한 2009년 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한국연구재단(NRF)의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영유아교사 셀프리더십 관련 논문 50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일반 동향, 연구 설계, 관련 변수 및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 셀프리더십 연구는 매년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증가나 감소의 뚜렷한 추세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 교사가 42.0%로 가장 많았고, 단일지역을 조사한 연구가 46.0%, 사례 수 200명 이상 300명 미만 연구가 50.0%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 설계와 관련하여 셀프리더십을 독립변수로 다룬 연구가 전체의 56.0%로 가장 많았으며 50편 전체가 양적연구에 해당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주로 국외 도구를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는데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연구가 82.0%였다. 가설검증 방법으로 74.0%의 연구가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셀프리더십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셋째, 셀프리더십의 종속변수로 다루어진 변인으로 교직지향, 역할수행, 직무만족과 같은 교직관련 변인이 52.3%로 가장 많았다. 셀프리더십의 독립변수로 다루어진 변인으로 교사의 자아개념, 자아탄력성 등 개인 내적 변인이 65.2%로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는 대부분 정적 영향을 보고하였으나 일부 변인에서 연구자간 차이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영유아교사 셀프리더십 연구에서 문헌연구, 질적연구 및 현장연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함과 매개와 조절 변인 탐색,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동향을 살펴본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한국의 영유아교사 셀프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연구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elf-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50 papers related to self-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rom January 2009, when research targe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gan to b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to October 2023, were selected for analysis to determine general trends, the research design, related variables, and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as criteria.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self-leadership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been consistently published every year, but there have been no clear trends of increase or decrease. The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were daycare teachers at 42.0%, studies investigating a single region at 46.0%, and studies involving cases with from 200 to 300 people were the largest at 50.0%. Second, with regard to research design, the majority of studies treated self-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56.0%), and all 50 studi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The scales used in the study were mainly adapted and modified overseas scale, and 82.0% of the studies did not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s. As a hypothesis testing method, 74.0% of studies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Third, the variables adopted as dependent variables of self-leadership were teaching profession-related variables such as teaching orientation, role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which accounted for the most at 52.3% of all studies. The variables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self-leadership were internal personal variables such as the teacher's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which accounted for the most at 65.2% of all studies.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reported positive effects, but differences between researchers were reported in some variables. In this study, it was proposed that research on the self-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incorporate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qualitative research, and field studie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explor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well as to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elf-leadership enhancement programs.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examining the trends in self-leader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analyz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he self-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목차
- 일본의 몬스터 패어런츠 현상의 정책적 대응에 대한 문헌 고찰
- 국내 기업교육에서 활용되는 'SPOT'의 개념화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난민 교육 내용 분석
- 느린 학습자의 문화예술 체험 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방안 연구
- 영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 연구 동향과 과제
- 초등돌봄교실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 분석
-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의 성격, 동기, 정서, 행동특성과 학업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 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 NIE 지도사의 신문활용교육 지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stin의 모형을 활용한 대학기본역량진단 (2015~2021) 평가기준 분석
-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하브루타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역량 증진을 위한 생성형 AI기반 맞춤형 피드백의 효과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