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이용수 12

영문명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이진숙(Lee, Jin Suk)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2호, 239~2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교육을 실행한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교육을 어떻게 이해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하였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2명의 초등 교사를 심층 면담한 후, 내용분석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교육에 대해 교사는‘대면 교육의 대체제’로서 비대면 교육을 이해하고,‘기초학력 수준 도달에 무게’를 두고 비대면 교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비대면 교육은 교육의 손실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대면 교육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교육이라는 이해와 교사의 관심과 노력에 의해 좌우된다는 이해를 발견하였다. 한편, 비대면 교육의 실행 측면에서는 교육내용의 축소와 재구성을 거친 실행 형태가 많이 나타났고, 동료와의 이해와 협업을 통해 역할을 분담하고, 구성원 간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실행의 요인을 교사, 교육과정, 수업환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결론적으로는 첫째, 교사들의 관심과 교육공동체 인식을 함양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의 교육내용 재구성 능력을 기르고, 교육부 차원의‘축소형 교육과정’과‘비대면 학습센터’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비대면 수업 플랫폼과 학습자료 지원센터를 구축하고 교사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연수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ed non-face-to-face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how they understood it during its implementation and finally discussed its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understood online education as a ‘complement to face-to-face education’ and had implemented non-face-to-face education with ‘an emphasis on reaching the basic academic level’. In addition, although online education was an inevitable choice to prevent the loss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e perception that it is a new education method that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face-to-face education and is determined by teachers’ interests and efforts. Meanwhile, in terms of implementing non-face-to-face education, many implementation forms reduced and reorganized the educational contents as well as it divided educational roles through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used new methods for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The factors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educa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eachers, curriculum, and class environment, an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terests and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must be cultivated. Second, teachers must develop their ability to reconstruct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establish a ‘reduced curriculum for the online education’ and ‘online learning center’. Third, improvement of th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is required to establish an online class platform and learning material support center and increase teacher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숙(Lee, Jin Suk). (2024).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열린교육연구, 32 (2), 239-263

MLA

이진숙(Lee, Jin Suk). "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열린교육연구, 32.2(2024): 239-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