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이용수 53

영문명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level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이동욱(Donguk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1호, 803~845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및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추진한 「한국복지패널조사」의 2022년 17차 조사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6,717명을 연구대상자로 지정하였으며, SPSS 26.0, JASP 0.18.0 및 Stata 16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경로분석을 행하였다. 첫째,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우울은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저소득층 가구 집단와 일반가구 집단에서 동일하게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독립변인인 우울, 가족관계와 종속변인 삶의 만족도 간에서 전부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정책 수립, 행정 개선, 관련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ship between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2022 17th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6,717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depression in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urth,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s a partial mediator, a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s a partial mediator. Fifth, in both the low-income household group and the general household group,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ies, improving administration,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및 내용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욱(Donguk Lee). (2024).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한국과 국제사회, 8 (1), 803-845

MLA

이동욱(Donguk Lee).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한국과 국제사회, 8.1(2024): 803-8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